[韓国語教育養成課程] 韓国伝統文化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韓国語教育検定試験)の勉強した内容の整理です。

韓国語教育検定試験はこちら


1.  はじめに

1.1.  伝統文化を教育する目的は?

文化を理解していないと、韓国語の表現力に影響を与えるため


문화 문식성(cultural literacy) : 

文化に対してもっている知識
大部分は、伝統と文化遺産によって成る


韓国人の「문화 문식성」も、韓国の伝統と文化遺産からくるものが多い。特に、世界観と生活慣習がそう

韓国文化の中に、蓄積されたシンボルを理解することが必要。

  • 진달래
  • 된장찌개
  • 온돌

どのようにしてこのようなシンボルが作られて来たのかを理解することで、문화 문식성を習得することができる


なぜ習得する必要があるか?

韓国の伝統文化の特殊性を習得し自分の国の文化と比較することで、文化的な多様性に対して柔軟性を身につけることができる



1.2.  韓国伝統文化の概念

한복을 입어보고 온돌방에서 자보고,, これで韓国文化に慣れた!というのは間違い。

今の時代は韓服を着ないので、化石化された文化といえる。


伝統文化の必要条件

어떤 집단이나 공동체에서 지난 시대에 이미 이루어져 계통을 이루며 전하여 내려오는 사상, 관습, 행동 따위의 양식
  1. 過去の時代に生まれた固有の文化
  2. 現代にも類似の系統が確認される「현대적 계승성(現代的継承性)」
  3. 伝統を発見し、伝承しようとする「후대인의 계승 의지(後代人の継承意思)」

→ 전통 문화といえる


韓国伝統文化

  • 이전 시대에 이루어진 고유한 문화 가운데 현대 한국인들이 적극적으로 발견하여 계승하고자 하는 문화


韓国伝統文化の領域

以下は網羅できていない例

  • 韓国文化に伝統文化が含まれている場合
    • 短所:伝統文化の固有性や、後世に継承しようとする意思とは関係ないものが含まれている
  • 伝統文化を韓国民族文化と限定する場合
    • 長所:現代は見られない固有性を満足
    • 短所:完全に過去のものなので、現代の文化を理解するには至らない
  • 伝統文化として考えられる項目を総合的に掲示
    • 食事、主生活、韓国人の日常、特産物など
    • 長所:実態を具体的にみせるので興味を引く
    • 短所:文化として紹介せず項目に絞って紹介するので、世界観や慣習を習得するには限界がある。


どのように領域を設定するか?

  • 「伝統」の必要条件を満たすこと
  • 「伝統文化」を教育する目的(문화 문식성을 익힌다)を具現する教育内容の提示


伝統文化の領域は3つ

  1. 전통적 세계관
  2. 생활 문화
  3. 문화재적 전승 문화
1,2は、外国人が韓国人と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とるのに必須項目
3は文化財を通して韓国人の情緒などを理解できるようになること




2.  韓国伝統文化の内容


2.1.  전통적 세계관

1)  자연과 인간의 상호의존성 : 自然と人の相互依存性

  • 文学を通して観察できる
    • 「청상요」「동동」
    • 自然が四季を通して変化することと、自分の人生とを比較した文章がある
    • 人の有限性を悟らせる自然の脅威を表現
    • 人間史が自然と同じであることを願う心を歌った詩がとても多い
    • 2008年KBSの調査
      • 韓国人が一番好きな詩は、「진달래꽃」과 「서시」


2)  비극적 현실과 웃음의 공존:悲しい現実と笑いの共存

비극을 웃음으로 감주려고 한다

  • 성구영언 육당본
    • 韓国文学特有の「悲劇的な現実」と「笑い」の共存
    • '출구전략'または、'웃음으로 눈물 닦기'という
  • 現代の文化の中にも見られる:임진택 씨
    • 緊迫した空気を打破するユーモア
1970년, 교련 반대 데모 때가 생각났다. 당시 서울 문리대 학생들은 속칭 미라보다리 앞 정문에서 기동경찰대의 저지에 막혀 있었다. 그때 희대의 광대인 2학년생 임진택이 마이크를 잡고 구호를 선창했다. “기동경찰은 물러가라! 즉각 물러나지 않으면”, 그러고 나서 한다는 구호가 “물러나지 않는 걸로 간주하겠다”였다. 그때 데모대도, 경찰도 배꼽을 잡고 나자빠졌었다.

[출처: 중앙일보] [나의 촛불시위 답사기] 상처받은 국격의 회복을 위해 촛불을 들었다


→ 전통 시대의 서민 문학의 '비극적 현실'과 '웃음' 사이의 거리가 극단적임...

예) 불에 타 죽은 자기 남편의 시신을 두고 "포수놈의 불고기하듯 아주 함박 꾸었구나"하고 표현 < 덴동어미화전가 >


2.2.  생활문화

  • 이미 온돌이나 한식과 같은 현대로 이어진 생활문화는 여러 교과서에 실려있다.

온돌

  • 아랫목 :  가족이 모이는 곳  (온돌방에서 아궁이 가까운 쪽의 방바닥 : オンドルの焚き口に近い床)
  • 윗목 : 따뜻하지 않고 혼자 외롭게 있는 곳


음식

  • 음식을 행복으로 직결(直結)
  • 이덕무 : < 사소절 >
    • 사람을 봉양(奉養)할 수 있다
    • 신명(神明)을 흠향하게 한다
  • 과학적으로 건강해서 많이 차려서 먹는다는 설명으로는 약간 부족함.
  • 식탁에서 같이 음식을 먹는게 소중한 사이가 되었다는 뜻



2.3.  문화재적 전승 문화

문화재 : 김소월 < 진달래꽃 >

영변의 약산 진달래꽃
  • 영번의 약산 = 아주 험한 산, 절승지
  • 바위 사이에 핀 진달래꽃 : 함부러 꺾을 수 없다.

한국인이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에 공감하는 이유

  • 예나 지금이나 한국의 어느 산하에서도 봄철에 피어나는 진달래꽃은 한국인에게 시각적 경이감을 불러일으키는 '문화재'의 일종
  • 김소월의 시는 진달래꽃에 대한 한국인의 감수성을 예술적 수준으로 끌어올린 '문화재적 전승 문화'


퇴계 이황 : 도산서원

  • 도산서원 뒤에 있는 산이 도산을 보며
    • 열심히 공부해야 겠다. 공부에 대한 뜻을 변하지 말자고 다짐.
  • 앞 흐르는 낙동강을 보며
    • 힘들고 지치더라도 쉬지 말고 또 한문을 연마하여야 되겠다.

한국인은 자연을 배경으로만 생각하지 않고 자연이 인간에게 적극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고 생각



3.  전통 문화 교육 방안

3.1.  전통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전통 문화'가 되기 위한 필요조건 3가지. (1.2.)

  • 현대에는 맞지 않아서 그대로 계승되기가 힘든 것이 있다
    • 길항관계 : 가, 나
  • 시조 
    • 현대 시조를 제작하는 사람은 소수
    • 3434 3434 3543이라는 율격이 현대 다양한 세상을 담기가 힘들다
    • 시조의 율격을 유지하지는 않지만 시조속에 담겨져있는 정신을 유지하고 있다.


교육 방안

1)  문화재를 활용한 전통적인 세계관 교육

  • 예 : 전시회 "백자항아리 -조선의 인과 예를 담다" (국립중앙박물관)


2)  생활 문화를 통해 전통적인 정서를 교육하는 방식

  • 예 : 한정식
    • 종류가 많아서 좋다 / 왜 비슷한 나물이 여러 개 나오나 ?
  • 정성을 보여주는 방법 = 양 > 질



4.  결론

한국 전통 문화를 교육하는 목적

  • 한국 문화 속에 축적된 상징을 중심으로 전통적 세계관이나 생활 관습을 이해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문화 문식성을 갖추고, 한국어를 문화의 맥락에 맞게 구사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함
  • 특수성을 배우고 자기 나라의 문화와 비교함으로써 유연한 태도를 기르기 위함

전통 문화의 필요충분조건

  • 전통적 세계관
  • 생활 문화
  • 문화재적 전승문화

이들을 서로 결합한 전통 문화 교육 방안이 필요함

전통 문화 교육의 향후 과제

  • 전통 문화 교육 내용을 체계화할 수 있는 이론 체계가 필요
  • 전통 문화 교수 / 학습 및 평가 자료 개발이 필요
    • 체험위주 프로그램밖에 없다
  •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전통 문화 교육의 시각과 방법을 갖추는 것이 필요

0コメント

  • 100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