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語教育養成課程] 韓国語教育課程論1 ~韓国語教育の発達と教育課程~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韓国語教育検定試験)の勉強のために、整理です。

韓国語教育検定試験はこちら


한국어 교육의 발달 단계

大雑把に分けて以下のように推移してきた

1. 現場基盤の経験が教育の中心 (~ 80년대)

  •  資格制度や教師の育成などの体系より先に現場があった
  •  宣教師、留学生、外交官などが対象で、道具に過ぎなかった
  •  文化や国家イメージまでは扱っていなかった


2.  経済的な強成長により教育の需要が急増 (~ 90년중반)

  •  学習者が急速に増えた
  •  経済が発達し、韓国の対外イメージが良くなり始めた
  •  재외동포の後世の誕生による需要
  • 多様な需要により教材の研究を開始
  •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창립 (1985)
  •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도입 / ACTFL 평가 원리
  •  한국어 교사 양성과정 개설 (각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었고 기준치가 없어서 질의 차이가 컸다)
  •  국외 교사 연수 실시


3.  制度や質の成長の段階 (~ 현재)

  •  한국어교육의 제도화
    • 한국어 능력 시험 (1997년)
    • 외국인 고용허가제 (2004년)
    • 한국어능력평가 제도(2005년) EPS-TOPIK 실시
    • 국이기본법 (2005년 7월)
    • 세종학당 개설 (2007년)
  • study korea project
    • 2004년부터 교육부에서 실시
    • 외국인 유학생 유치


한국어 교육기관의 6등급제

최근에는 7급까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2010, 2011년)


학습 목적에 따라서도 교육과정이 달라진다.

  • 외국어, 제2외국어
  • 일반 목적
  • 특수 목적


학습 장소

  • 국내
    •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
    • 다문화가정 구성원 대상 한국어 교육
    • 이주민 대상 통합 프로그램
  • 국외
    • 세종 학당(한국문화원, 한국교육원)
    • 한글학교
    • 대학교 한국어 과목


한국어 교육의 다양성, 다층적 성격

 - 단일한 교육과정 운영이 가능하지 않음  ->  더욱 더 체계가 필요함

0コメント

  • 100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