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語教育養成課程] 韓国語教育課程論3 ~内容の選定と評価~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韓国語教育検定試験)の勉強のために、整理です。

韓国語教育検定試験はこちら


교수 요목의 설계

교수 요목의 유형은 "한국어교육과정론2"를 잠조


선정 과정 (과정론2에서 배웠던 절차)

1. 요구 분석 및 2. 상황 분석  ->  계획 단계(교육 요목  ->  교육 범주  ->  교육 내용)



2.2.5.  교육 내용 범주의 결정

  • 언어관, 교재관, 교육과정에 관한 기본 개념
    • 언어는 문법이나, 발음이나, 어휘다 (7,80년대)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학습자한테는 이 부분을 중심으로 해야 할지도 모른다
  • 언어 정책, 학습자의 요구, 언어 학습 이론 
    • 이민자인 경우에는 문화를 포함시켜야 한다.
  • →  교수요목 유형에 따라 교육 내용 집중도가 달라짐
  • 언어 필수 요소
    • 예 : "쓰기"의 요소 : 문법 / 기능 / 주제 / 기술 / 과정 / 텍스트  =>  다 포함시킬 건가.
    • 한국어 교육과정 : 주제, 기능, 상황, 언어 지식(발음/어휘/문법), 의사소통 기술(듣기/말하기/읽기/쓰기), 문화 로 이루어짐.
  • 교육 목표 설정 단계에서 내용 범주가 설정됨


2.2.6.  교육 내용 선정

고려 사항

  • 교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
  • 내용 범주
  • 숙달도
  • 학습 목적
  • 요구 분석 결과
  • 교육 시간


----

예 : 외교관 한국언어문화 연수과정의 목적 4가지

  1. 기술별 수업(듣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을 통해 한국어 능력을 높인다
  2. 한국학을 통하여 한국에 대한 이해를 심화  (상황요인의 사회요인)
  3. 한국 사회와 문화를 관찰하고 이해 (문화 이해를 강조)
  4. 1~3 목적이 이뤄지면, 전문가 및 지한 인사를 육성하여 세계화에 기여한다.

연수 과정 내용

  • 한국어 수업은 800시간
    • 1 ~ 4급까지 각 200시간 씩
    • 급 마다 추상적인 목적이 있고 구체적인 목표가 설정 되어 있다
  • 특강 (문화, 정치, 결제, 사회)  24시간
    • 초급단계에서는 영어로 수업을 진행, 전공 교수를 초빙
    • 각 과목마다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
  • 문화 체험 168시간
    • 강습 교육
    • 1 ~ 4급까지 계속해서 수업을 한다
  • 현장 체험 (11회)
    • 문화 실제 경험을 통한 문화 이해가 목적
    • 박물관 방문, 단기여행 등
    • 체험하면서 사회, 경제, 정치에 대한 것들도 이루어지도록 구성

----


2.2.7.  교육 내용의 조직과 배열

교육 내용이 선정이 된 후 어떤 순서로 실시할 것인가.

등급별 조직과 동일 등급 내의 배열

>  대략적인 배열 순서 기준이 정해져 있다.


기준

  • 난이도 ( 간단 -> 복잡 )
  • 시간 순서
  • 요구
    • 학습자가 먼저 하고 싶은 것을 먼저 한다
      • 예 : 격식체(습니다)와 비격식체(아요/어요) 순서
  • 학습 순서
    • 혼란을 이르키는 부분은 나중에 한다든지
    • 부분에서 전체인지 전체에서 부분인지
  • 나선형 구조
    • 반복 연습
    • 예 : "인사하기"라는 기능이 1급에서는 첫 만남 인사가 나오고 2급에서는 안부 묻기가 나오고 4급에서는 공식적으로 소개하기로 반복해서 나옴



2.2.8.  교수 학습 방법

  • 지도안 표준 모형
  • 지도시 고려 요인
  • 지도서
  • 교사 평가
  • 교사 발화
  • 교사법의 요건



2.2.9.  평가

대상은 

  • 학습자
  • 교육 과정


학습자 평가 -> 평가론에서 다시 다룬다

교육 과정 평가

  • 교육의 효율성
  • 개선점을 찾아 교육과정을 발전, 향상시키려고 함


평가 유형

  • 형성적 평가 :
    • 프로그램을 개발 중에 시행, 문제점의 개선 목적
  • 조명적 평가
    •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도중에
  • 부가적 평가
    • 프로그램 운영 이후에 효율성, 용인 가능성 등 교육과정의 가치를 평가    <-- 대부분 이거


평가자 : 

교사 / 학습자 / 교육과정 개발자 / 기관 운영자 / 프로그램 후원자 등


기능에 대한 평가 내용이 구체화되어 있지 않음

만족도 조사를 설문지로 피드백을 통해서 개선을 하고 있다.

0コメント

  • 100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