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語教育養成課程] 한국어 말하기 교육론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韓国語教育検定試験)の勉強のために、整理です。

韓国語教育検定試験はこちら


1.  말하기의 정의

음성 언어 : 말하기 / 듣기

문자 언어 : 읽기 / 쓰기


  • 의미 협상의 과정
  • 정보의 공백을 메워가는 과정



2.  말하기 교육의 중요성

日常において、

듣기 : 45%

말하기 : 30%

あわせて75%にもなる


最近のSMSとかSNSも말하기の領域

演説や討論、発表もそう



3.  말하기 교육의 목표

한국어를 사용한 정확하고 유창한 의사소통 능력 함양


의사소통이란 ?

  • Hymesが定義
    • 特定の状況でメッセージを伝え、互いに理解し合う能力
    •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スキル
  • Canale & Swain 4種類をあげた
    • 文法的能力:文法的に正しい文
    • 談話能力:意味のある談話や文脈を理解し、作り出す能力
    • 社会言語能力:社会的な文脈を判断、状況に応じて適切な表現
    • 戦略的言語能力: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目的達成のための対処能力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말하기 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항목 (Brown. H. D.)

 - 발음이나 ,발성, 속도, 전략, 문법에대한 8가지 항목이 있다.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목표 (최정순)

  • 정확한 발화, 유창성, 의사소통 능력의 개발
  • 담화 능력 배양
  • 과제 중심의 수업 활동
  •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활동
  • 학습자 주도적인 학습전략 개발


4.  말하기 수업 구성

4.1.  수업 구성의 원리


가.  口語の特徴 (이해영)

  • 통사적 특성
    • 語順、助詞、否定、副詞、句・節の単位、文章構造、などなど
  • 음운적 특성
    • 縮約、脱落、
    • 標準音、現実音
      • '아파' 가 아니라 '아퍼' 라고 하는 사람도 많지만 외국인들은 다른 단어로 인식
    • 発話速度
  • 담화적 특성
    • 母語との構造の違い


나.  正確性と流暢性のバランス

  • 정확성
    • 언어 형식에 초점
    • 음운적으로 잘못이 없는 한국어 구사 능력
  • 유창성
    • 언어의 사용에 초점
    • 자연스럽고 막힘이 없이 한국어를 사용하는 능력
  • 어느 한쪽에만 초점을 맞춰버리면...
    • 정확성 > 유창성 = 부자연수러운 문장
    • 정확성 < 유창성 = 잘못한 표현이 화석화 (化石化)
  • 그래서
    • 초급 : 정확성 > 유창성
    • 고급 : 정확성 < 유창성


다.  학습자의 요구 반영

라.  다양한 상황에서의 담화 능력 신장을 위한 구성

마.  문화에 대한 이해 반영


바.  과제 중심의 수업

  • 과제
    • 의미에 중점을 두고 언어를 이해하고 처리하고 생산하는 교실 내의 활동
    • 약속하기, 집 구하기, 토론, 연설, 발표



4.2.  말하기 지도의 원리

가.  실제적인 언어사용 능력 배양

  • 교실에서 배운 표현과 실제 대화에서 나오는 표현은 전혀 다르다.
  • 그래서 과제나 자료가 실제성이 있어야 한다.
    • 예: 과제 배경이 지하철이라면 안내방송을 그대로 이용한다


나.  유창성과 정확성 모두를 향성

다.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학습자 중심

  • 학습자가 배우고 싶어하는 내용으로 과제를 구성


라.  학습자의 말하기 수행 중심

  • 교사가 설명을 길게 자세하게 하는 것보다 많은 연습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마.  네 가지 기능의 통합성

  • 말하기 / 읽기 / 듣기 / 쓰기
  • この4つをそれぞれ取り入れて総合的に練習させる


바.  적절한 피드백 제공



4.3.  수업 구성의 단계

PPP

  1.  제시 (Presentation)
    • 写真やボード資料を見せて、簡単な質問や対話を通して内容を伝える
  2. 연습 (Practice)
    • 多様な練習を通して意味や使用法など構造との関係を伝える
  3. 생성 (Product)
    • いままでの知識を総動員させて意思疎通のためのSpeakingを再創造する


Rivers & Temperley

  • 기능 습득 단계
    • 意思疎通のための基礎を磨く段階
    • 言語の単位、範疇、文法などの認知
    • 規則になれる訓練の段階
  • 기능 사용 단계
    • 実際の意思疎通の段階
    • 規則に対して自身の意見や思いを表現
    • 相手の話を理解
    • 相互意思疎通を通して言語を使用する段階


Paulson & Bruder

  • 1차적 단계
    • 기계적 연습 / 유의적 연습 / 의사소통 연습
  • 2차적 단계
    • 의사소통 행위

PPPで言うとこの習得段階 = 1次

PPPで言うとこの使用段階 = 2次


Lottlewood

  • 의사소통 전단계
    • 문법, 구조를 익히는 유사의사소통 행위가 일어나는 단계
  • 의사소통 단계
    • 실제 의사소통 행위가 일어나는 단계


... 4가지 다 내용이 비슷비슷

그래서 효율적인 말하기의 지도가 되려면, 

  •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연습과정이 중요
    • 쉬운 것 -> 어려운 것
    • 단순한 것  ->  복잡한 것
    • 기계적인 연습보다 유의적이고 의사소통적 연습


과제수행 중심의 말하기 수업을 위한 5단계 (최정순)

  1. 도입
    • 興味を引き、動機を付与
    • 適切な質問を通して、補助資料を利用して自然に学習目標に触れさせる
  2. 제시
    • 実際の文脈で提示
    • 文法の有意義な使用
    • 単純なモデルの対話
  3. 연습
    • 多くの練習を通して文法を自分のものにする
    • 最後の課題のため、体系的で複雑な練習
    • 学習者がたくさんしゃべれるような問題を構成
  4. 활용
    • 実際の状況で課題を遂行できるようにする
    • 完全な対話、問題解決活動を通して意思疎通能力を培養
  5. 마무리
    • 教授のFBを通して間違いを修正する
    • 内容整理する
    • 課題を付与する



5.  말하기 수업 활동 유형

5.1.  교실 말하기 활동 형태 (Brown)

  • 모방형
    • 교사가 말하는 것을 반복
  • 집중형
    • 일정한 형대를 반복해서 음운과 문법을 배움
  • 응답형
    • 교사나 동료의 질문에 짧은 문장으로 응답하기
  • 정보교류적 대화
    • 응답형보다 더 광범위하며 특정 정보를 전달 / 교환하기
  • 사교적 대화
    • 정보 교환 보다는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형태
    • 속어도 사용
  • 확장형 독백
    • 계획적 / 즉흥적 일 수 있음
    • 혼자서 길게 말하는 능력
    • 중급 이상의 학습자


5.2.  교실의 상호 대응 유형 (Byrne)

学習者が中心になる時と講師が中心になるときの相互関係について


5.3.  말하기 수업 활동을 위한 교실 배치

        교사
XXX XXX XXX
XXX XXX XXX
XXX XXX XXX
  • 전통적인 언어 수업
  • 설명할 때


        교사
XX              XX
XX              XX
XX    XXX   XX
  • 교사는 동선을 확보
  • 학생 개개인과 눈을 맞출 수 있다
  • 계단식 강의식, 책상이 무겁거나 움직일 수 없을 때 힘들다


      교사
XX  XX  XX
XX  XX  XX
XX  XX  XX
  • 짝 활동


          교사
XX                 XX
XX                 XX


XX                 XX
XX                 XX
  • 그룹 활동
  • 小さい円と、大きい円を二つ作り、内側の円は外側を、外側の円は内側をみて座り、お互いが向き合うような形 
  • 一定時間の活動後に、一つ横にずれて、別のパートナーとまた活動をする
  • インタビューなどに有用


人  人
  人  人
人  人
  • 机を挟んで向き合って座るスタイル
  • 정보차活動に有用


X   X        X
X        X         X
    X      X    X
  • ランダム
  • 自由に歩き回る
  • アンケート調査などに有用


5.4.  활동 유형

가.  어휘, 문형 중심의 통제된 연습

> 기계적인 드릴

教師がサンプルを読む。変数の部分のみを入れ替えて練習できるようにカードを提示して質問し、学生に文章を考えさせる

文章の一部が変数になっててそこをカードで活用する方法

例:

サンプル:$x{어제 만난} 사람은 누구예요 ?

$x = [오늘 만나다,  내일 만나다,  작년에 만나다]


> 인터뷰

教室を回りながらお互いに自由にインタビューをさせ、プリントに足りない情報を埋めていく

名詞のようなデザインのプリントで、人の情報を集めて行ったり


> 정보차 활동

2パターンの絵を配って、ペアで違う情報を聞き出し交換する

〜はどこですか?〜は何色ですか?〜月〜日は〜をしますか?など


> 역할극 (Role Play)

シチュエーションを作って、活動をする

複雑な状況は効果的でない

演劇みたいにたくさんの登場人物は必要ない

実際にあり得る状況がいい。タクシーになるとか道を聞くとか


> 게임

学生の興味を引き、記憶に長く残る

方法と規則が複雑だと、その説明に時間をとられ、結果が望ましくないこともある

理解できる語彙で説明すること

個々人でやるゲームやペアでやるゲーム

ビンゴやすごろく


> 발표

特定のことに関して、または個人ことに関して発表をする

表現はもちろん、発表することでスピーキングも作文も期待できる

プレゼン、講義、報告など

中・高級に適合


> 토론

先にニュースや主題を与えておく

死刑制度に関してどう思いますか

国立公園にケーブルカーを設置することに関してどう思いますか?


> シミュレーション

一人一人に役割、主張の方向性を与え、討論のような感じではあるが、自分に与えられた役を演じる

高級レベルに適合



6.  피드백 (FeedBack)

  1. 긍정적 피드백
    • 과제를 했다든지 클리어를 했을 때에는 아낌없이 칭찬을 해야 한다
  2. 중립적 피드백
    • 잘 몰라서 잘 못 표현했을 때
    • 발음, 어휘, 문법, 담화, 사회 문화,, 화석화가 되지 않도록
  3. 부정적 피드백


오류의 종류

  • 생략 (조사 생략)
  • 과대일반화 (모든 존대 표현)
  • 전이 (격조사  ,가/이,  를/을)


오류 수정 지도 방법

  • 초급 화자한테는 즉각 지정해서 화석화가 되지 않게
  • 고급 학생한테는 바로바로 지적하지는 않고 나중에 지적한다든지 한다

学生に間違えた部分を自ら気づかせる間接的な方法で指摘する方法と、直接その部分を強調したり反復したりして指摘する方法がある


学生は、話したくても技術力が足りずになかなか話せないことがある。そんなときに戦略的にはなすテクニックを教えることができる。

  • 분명히 말해 달라고 요구하기. 
    •  "뭐 라고요?"
  • 반복 요청 
    • "다시 말해주세요"
  • 시간을 끌기
    • "응 - 그러니까- ., 뭐냐면,, ."
  • 대화 유지를 위한 표현 사용 
    • 말짱구
  • 다른 사람의 주의 끌기 
  • 다른 말로 쉽게 풀어 말하기 
    • 어려운 표현이 생각 안 나면 쉽게 풀어서 말을 해본다
  • 듣는 사람에게 도움 요청하기 
    • 표현을 모르면 물어본다
  • 정형화된 표현 사용 
    • 같은 상황에서 같은 문형을 사용
  • 비언어적 표현 사용 
    • 몸짓을 사용

このような技術を使って、意思疎通を図るように学生に促すことができる

0コメント

  • 100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