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語教育養成課程] 한국어 쓰기 교육론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韓国語教育検定試験)の勉強のために、整理です。

韓国語教育検定試験はこちら


1.  쓰기의 개념

初期に、規則的で正確な文章の教育をしていたときに研究されていたが、近代にコミュニケーションに重心が移ったため忘れられていた書き取りの領域だが、最近になってまた研究されてはいるものの、体系的で具体的な学習内容はない


정의

문자를 도구로 하는 표현 언어
노출됨으로써 어려운 기술


作文(작문)とそうでないもの(쓰기)に分類

いろんな定義がある(単純な転写は作文に含まなかったり、転写は쓰기、創意的な作文は작문)

文字に書き出すまでの思考も作文に含む


Wilga Rivers (1968)

  1. notion : 말소리와 문자를 대응시킴
  2. spelling : 맞춤법
  3. Writing practice : 주어진 것을 전사, 선택할 부분이 있는 베끼기
  4. composition : 자유로운 작문


외국어 교육에서 쓰기

모어로 작문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지만 외국어로 작문하는 것은 별개 학습이 필요함

一度書いて提出したら修正ができないため学習者は消極的になりがち→修正する時間を十分に与える

목적에 따른 학습 / 수업이 필요함

  • 일상생활 : 편지
  • 수업 : 과제, 숙제, 활동
  • 심리학적인 필요성 : 쓰기는 다른 기능에 도움이 된다. 시각, 청각, 운동신경 활성화
  • 정신 활동 조직하기 : 생각을 발전시킨다. 혼돈 상태의 사고를 정리하고 조직하는 데 도움이 된다.


Bernd Kast (2007:202)で外国人のWritingの特性10項目があるけどあまり重要じゃない(当たり前の内容なので)のでスキップ。



2.  쓰기 교육의 배경

2.1.  결과 중심 / 과정 중심

결과 중심 접근법 ~ 1960년대 중반

  • 결과물을 중시됨
  • 형식에 초점
  • 정확성이 중시됨


과정 중심 접근법  1960년대 후반 ~

  • 글 쓰는 사람에 초점
  • 과정을 중시함
  • 정확성보다 유창성
  • 교사 뿐만 아니라 학습자 간에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また、どこに焦点を当てるかの分類がある

→ 読者:ジャンル中心。読者や状況に合った作文

→ 筆者:過程中心

→ テキストの形式:結果中心




3.  쓰기 교육의 실제

3.1.  목표

文語を効果的に使用すること

正確な言語に対しての規則、指針を超えて、論理的な筆者になるように教育する


3.2.  쓰기 활동 유형

Brown (1994:327-330)

  1. 모방하기
    • 첫 단계. 규칙을 배운다
    • 받아쓰기
  2. 집중적 / 통제된 쓰기
    • 창의력이 요구되지 않음
    • 대치 (한 단어를 교환한다 / 빈칸으로 채운다)
  3. 스스로 쓰기
    • 교실에서 쓰기의 중요한 부분
    • 노트 필기, 일기, 일지
  4. 전시적 쓰기
    • 제출하고 보여줘야 하는 쓰기
    • 학문목적
  5. 실제적 쓰기
    • 학술적 : 정보 전달
    • 직업적 / 기술적 : 실제 편지, 지시법, 서류
    • 개인적 : 일기, 편지, 엽서, 메모, 노트, 개인적 메시지, 비형식적 글


수준별 쓰기 활동 유형 : 강승혜 (2002:179)

담화적 활동 (초 ~ 고급)

  • 바꿔 쓰기
  • 담화 완성하기
  • 시각자료 활용한 활동
  • 의미 확장하기
  • 읽기 / 쓰기 통합
  • 자유 작문
  • 학문적 / 전문적 쓰기 (논문 등)

비담화적 활동 (초 ~ 중급)

  • 베껴 쓰기(자모 익히기, 띄어쓰기)
  • 문법 활용
  • 받아쓰기
  • 빈 칸 채우기
  • 틀린 것 고치기


3.3.  쓰기 수업의 구성 단계

잉그램 & 킹 (Ingram, B. & King, C. : 1988:38-45)

  • one-step writing : 友達に手紙送る時など一回しか書かない
  • multi-draft writing:論文を提出するなど何度も再構成
  • timed writing:時間内に提出する場合は数回の編集

適切に教室で練習するような構成を作る


단계 활동

3.3.1.  쓰기 전

  • 자료 보기 (기사, 뉴스, 자료, 동영상 등)
  • 브레인스토밍 / 마인드 맵
  • 토의 (짝 활동 / 그룹 토의)
  • 모법 텍스트 읽기
  • 사전 조사 (설문 조사, 인터뷰 등)
  • 개요 쓰기


3.3.2.  쓰기

特段何もなし


3.3.3.  쓰기 후
  • 읽고 의견 교환
  • 발표
  • 전시
  • 영상 만들기 (상황극, 연극, 영화, 광고 영상)
  • 저널 , 신문 인쇄
  • 웹 사이트에 올리기


쓰기 능력을 길러 주는 5가지 연습 (베른트 카스트 (2007:49-272))

  1. 글쓰기를 준비하는 연습
    • 어휘 확장과 어휘 세분화:単語や表現しらないと書けないから
    • 연상표, 아이디어 망:アイデアや文章の構成を考えておく
    • 맞춤법과 문장 부호
  2. 글을 만들어 나가는 연습
    • 接続詞、文章のつながり、人物紹介、文章の構成
  3. 글을 조직하는 연습
    • 対話を文章に変えてみる
    • テキスト→単語に、単語→文章に、文章→テキストに変えてみる
    • 一つの文章を観点を変えて書いてみる
    • 文章を要約してみる
  4. 창조적이고 자유로운 글쓰기 연습
    • 絵や、写真、実物の物を見ながらそれについて文章を書く
    • グループで書く
    • 音楽を聴いて書く
  5. 의사소통적이고 실제적인 의사소통 상황에 근거를 두는 글쓰기 연습
    • 誰か宛の手紙を書いてみる、返信も書く
    • 会議の議事録をかく


3.4.  한국어 쓰기 교육의 과제

여기까지 활동 유형이나 글쓰기 연습 패턴에 대한 소개를 했다.

여기서는 한국어의 쓰기 교육에서 사용하는 과제를 살펴 본다.

초급 단계에서 고급 단계 순으로 나열한다.


1.  한글 자모 익히기

받침과 떼어서 연습하는 과제


2.  통제된 쓰기

질문:  밑줄에 알맞은 말을 넣어 문장을 완성하세요.

>  오늘은 날씨가                            .


질문: 보기와 같이 알맞게 고쳐 써 보세요. ( + 어/아 지다 )

보기: 겨울이 되어 날씨가 (춥다) 추워졌어요.

>  요즘 과일 값이 (비싸다)                            .


3.  장르별 쓰기

뉴스나 메일을 형식에 맞춰서 쓰게 하는 과제


4.  자유 작문

주제를 주고 자유롭게 작문을 시킴.

> 유행하는 옷 스타일에 대해.


5.  특수 목적의 쓰기

> 이력서 쓰기, 논문 쓰기, 보고서 쓰기



4.  쓰기의 평가

숙제 / 퀴즈 / 시험을 통해 이루어짐.


4.1.  평가 기준의 세부 항목

  • 맞춤법
  • 어휘
  • 문법 (한국어식 문장 표현, 문어체 / 구어체의 구별, 공식 / 비공식 표현)
  • 담화 (전개 방식의 조직성, 단락의 유기적 조직, 담화표지 사용의 적절성, 테스트 형식에 대한 지식)
  • 내용 (주제에 맞는 내용, 논리성)
  • 길이 (단락의 유기적 조직, 정해진 분량)
  • 기능 (과제에서 요구하는 기능 수행)
  • 사회언어학적 요소 (종결어미 표현 사용, 경어법)


> 토픽의 쓰기 영역 작문 문항의 평가 범주

출처: 시험소개



4.2.  피드백

교사의 피드백

  • 숙제와 과제에 대한 피드백
  • 어휘와 문법, 표현, 논리성 등


동료의 피드백

  • 돌려 읽기 등의 활동이나 협력 과제를 통해 서로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다


학습자 자신이 점검하는 체크 시트, 동료 학습자의 평기를 하는 체크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5.  쓰기의 오류와 수정

※概念や論文の内容だけが並ぶので、体系的な構造が確立されていない様子

まずは、言語学の観点からerrorとmistakeについての概念や方法などを説明。



오류란? 

철자법, 어휘, 문법, 문맥 ... 여러 층위에서 오류를 판별할 수 있지만 불분명하다.
모어 화자가 판단한다고 해도 성별, 지역, 나이에 따라 기준이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수업 단계에 따라서 다르다. (3급에서는 허용되지만 5급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판별하지 못 한 오류도 있다.

> 안타깝다 / 아쉽다  ---  구분하기 힘들어서 학습자의 의도대로 사용되지 않았다고 해도 의미상 문제가 없으면 판별하지 못한다.


오류의 분류 : Karin Kleppin (2007:64-67)

  1. 오류의 원인에 따른 분류

    • Corder (1967) : 수행(mistakes) / 능력 (error)
    • Edge (1989) : 실수 (slips) / 착각 (errors) / 시도 (attempts)
  2. 의사소통에 장애를 주냐 안 주냐.
  3. 언어의 층위에 따른 분류 : 음성/음운, 형태/통사론 / 의미, 어휘, 화용론적 오류, 내용 오류
  4. 오류표시기호를 사용한 분류 : 
    1. 표현 잘못, 관사 사용 틀림, 접속사 틀림 등
  5. 이례적 분류
    1. 옳다고 확신하지만 사실은 오류
    2. 다행히도 발생하지 않은 오류
    3. 다른 사람들이 발견하지 못한 오류
    4. 발생할 수도 있었던 오류
    5. 학습자 스스로 고칠 수 있는 오류
    6. 감수해야 하는 오류
    7. 의도적인 오류
    8. 회피할 수 없는 오류
    9. 불필요한 오류
    10. 더 이상 발생해서는 안 되는 오류


오류에 대한 가치 판단

60년대 초까지는 부정적인 입장

60년대 말 이후에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학습자가 어느 위치에 서 있는지, 무엇을 원하는지를 알 수 있다.


오류의 원인 7가지 : Karin Kleppin (2007)

  1. 모어 혹은 다른 외국어 간섭
  2. 목표어 내부의 어떤 요소의 영향 (과잉 일반화 / 규칙화 / 단순화)
  3. 의사소통 전략의 영향 (회피 전략)
  4. 학습전략의 영향
  5. 외국어 수업의 어떤 요소의 영향 (연습 전이)
  6. 개인적인 요소의 영향
  7. 사회.문화적인 요소의 영향


오류 수정의 효과

언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견해도 있고 반대 견해도 있다


오류 수정의 문제

김미옥 (2007:444-445)

단기적인 효과는 단언할 수 없지만 오류는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 학습자는 문법적인 오류 수정을 바란다
  • 학습자가 스스로 찾아내서 고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간접적인 방법을 권장
  • 교사만이 아니라 학습자 자신, 동료 학생 등 


Karin Kleppin (2007:85-110)

  • 시험/평가지향적 오류 수정 : 언어능럭측정이 중심, 적게 틀리도록 하는 데 주안점
  • 과제지향적 오류 수정 : 과정, 학습의 진보가 중심, 오류는 학습을 위한 좋은 기회
  • 글쓰기에서 오류 수정 : 세분화 된다
    • 1단계 : 단순한 오류 표시
    • 2단계 : 수정기호를 사용하여 오류를 표시함
    • 3단계 : 교사가 바로잡음
    • 4단계 : 학습자 스스로 바로잡음


오류 수정의 범위

오류는 긍정적인 거라면, 모든 오류가 표시 되어야 한다 (학습자가 오류가 없다고 생각한다)

잘된 표현도 역시 긍정적으로 강조 (긍정적인 수정)

오류 표시가 가득하면 의기소침해질 것이다


수정 방식

  • 오류의 위치, 종류에 따른 표시색깔을 바꾸는 방식이 있다.
    • 예 : 파랑색 (정서법 오류), 빨강색 (문법 오류), 녹색 (어휘 오류) 등
  • 수정 기호 사용할 때는 교사의 코멘트, 대안을 쓴다


오류 평가

  • 수정된 오류에 대해 학습자와 이야기하기
  • 오류 수정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을 설문조사를 해서 보다 효과적인 오류 수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ここまでが一般的な話。

これらを踏まえて、韓国語での쓰기フィードバックについての指針

지침

  • 목적에 맞는 쓰기인가
  • 적절한 어휘가 사용되었는가
  • 문법적인 오류의 수정
  • 문법 규칙
  • 조사 사용
  • 술어의 문제
  • 철자 수정
  • 학습자가 의도한 것을 찾는 노력
  • 보충할 점 제안하기


오류 수정의 기호 예

0コメント

  • 100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