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語教育養成課程] 한국어 읽기 교육론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韓国語教育検定試験)の勉強のために、整理です。

韓国語教育検定試験はこちら


1.  읽기와 읽기 교육

읽기는 이해 언어 (이해 영역)

초기 교수법에서는 읽기를 중요시 했던 문법 번역식 교수법에서도 수동적인 언어 능력으로 간주

번역을 하기 위한 단계 중 하나로만 생각했음


읽기 지도의 중요성

  • 스키마 이론, 담화 이론을 배경으로 읽기의 중요성 부각
  •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 증가
  • 고급 단계의 한국어 학습자 증가

충분한 읽기 활동과 읽기 전략이 중요하다


1.1.1.  읽기의 정의

독자가 자신이 가진 배경 지식을 활용하여,

저자에 의해 문자로 쓰인 의미를 재구성하면서,

그 나름대로 이해해 가는 능동적인 과정이다


1.1.2.  읽기의 특성

  • 문어로서의 특성 : 축적성 (쌓아온 정보)
    • 통시성과 편재성 (시간과 정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전달할 수 있고 받을 수 있다)
    • 정확성 (문어로 기록된 것은 정확하다)
  • 이해 영역으로서의 특성
    • 언어 습득에서의 선행성 (언어 습득은 이해가 먼저 선행이 되어야 표현이 가능하다)
    • 언어 학습에서의 입력 (입력과 출력을 나눴을 때 읽기는 입력)

1.2.  읽기 교육의 목표

목표는 성공적인 읽기 교육을 위해 필요하다.


한국어 읽기 교육의 목표

  1. 의사소통의 기능
  2. 유창한 독해의 기능
  3. 맥락에 맞는 적절한 언어 사용의 기능
    • 입력이 있어야 출력이 되기 때문
  4. 즐거움이나 지식 및 문화 정보 습득의 기능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세워야 한다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교육 목표 : 한재영 외 (2005)

> 초급, 중급, 고급의 구체적인 목표가 설정되어 있다.

> 글 중심 -> 학습자 중심으로. 

> 초급은 독해를 위한 기초 단계, 중 / 고급 목표를 중요하게 여기면서 목표를 설정한다.




2.  읽기 이론의 이해

초기의 읽기 연구

-  학습자보다 글과 관련된 요인에 치중

- 올바른 문장을 만드는 문법에 관심


2.1.  읽기 과정에 대한 이론

  • 1870년대 인지 심리학에 바탕을 둔 연구가 시초
  • 시각과정
  • 글에 대한 독자의 이해 과정


2.1.1.  상향식 모형 (Botton-up Model)

  • 글자 -> 단어 -> 구/문장
  • 글 혹은 글자를 정확하게 해독해야 하고 글자가 중요하다
  • [비판] 어휘나 문법을 정확하게 알고 있음에도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 [비판] 글자보다 단어가 먼저 인식되고 이해돼버리는 경우
  • 초급단계 학습자에게는 유용하다

2.1.2.  하향식 모형 (Top-down Model)

  • 텍스트에서 의미를 구성해 가는 역동적인 과정
  • 독자의 적극적 참여, 배경 지식을 강조
  • [비판]  어휘나 문형 등의 의미나 개념을 알지 못하면 배경 지식이 있더라도 글을 제대로 이해 못함

2.1.3.  상호작용 모형 (Interactive Model)

  • 순환적인 과정
  • 상향식 처리와 하향식 처리가 상호 작용함
  • 추측과 확인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



2.2.  인지 과정에 대한 이론 (스키마 이론)

스키마란 ?

독자가 자신의 과거 경험을 통해 이미 구조화하여 내재화하고 있는 모든 지식
인간의 기억 속에 존재하는 인지 구조
새로운 정보가 제공되면 기존의 정보에 연관시키는 역할

스키마의 2가지


2.2.1.  내용 스키마

  • 배경 지식
  • 이미 알고 있는 것
  • 문화적 요인에 따라 크게 좌우됨

2.2.2.  형식 스키마

  • 글의 구조에 대한 배경 지식
    • 논설문은 " 서론 - 본론 - 결론 "
  • 글에 어떤 부분에 어떤 내용이 담겨질지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스키마.


읽기 과제 수행 시 , 내용 스키마와 형식 스키마가 동시에 작동됨.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불완전한 언어 지식과 모국어의 간섭으로 어려움이 있다.

--- > 스키마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




3.  읽기 교육의 원리

성공적인 읽기 교육

-  교사 중심  ->  학습자 중심

-  학습의 결과 중심  ->  학습의 과정 중심


3.1.  읽기 이해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의미의 이해라는 최종 목표에 도달하기 어려워지는 요인 3가지

  • 독자가 가진 변인 : 언어적 지식
    • 어휘적 지식 + 통사적 지식
    • 어휘를 다 안다고 해도 통사적 지식에 근거해서 해석해야 하는 경우가 많음
  • 글이 가진 변인 : 텍스트에 관한 지식
    • 텍스트의 일관성(一貫性)을 위한 응집성 장치 때문에 즉각적 의미 파악에 어려움을 겪음.
    • 글에 내용만으로 응집성이 획득 되는게 아니라 지시대명사, 인칭대명사와 같은 대용어가 읽기 이해를 어렵게 한다
  • 독자와 글이 모두 가지고 있는 변인 : 문화적 요인
    • 글의 주제나 내용이 자신의 문화적 배경과 친숙한 경우 이해하기 쉽다
    • 글의 형식이 자신의 문화적 배경과 친숙한 구조인 경우 이해하기 쉽다


3.2.  읽기 목적 설정

중요성

  • 흥미와 내적 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함


목적의 종류

  • 정보 확득 :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 조리법, 광고, 표지판 등
  • 지식 확장 : 배움을 위해
    • 논문, 전문지식, 책
  • 오락 추구 : 즐거움을 얻기 위해
    • 소설, 만화


읽기 목적과 텍스트 유형은 반드시 고정된 것은 아님

---  소설을 배우기 위해 볼 수도 있음

학습자 개개인의 읽기 목적에 맞는 텍스트를 선정하는 것이 이상적임


3.3.  읽기 자료 선정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선정의 기준

  • 내용 및 주제
    • 학습자의 흥미를 끌만한 것이어야 한다
    • 주제만 봐도 흥미를 가지는 동기 부여가 되는 내용이어야 한다
  • 난이도
    • 학습자 수준에 맞아야 한다
  • 학습 유용성
    • 언어 능력과 특정 분야의 내용을 동시에 발달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 실제성
    • 실제적인 읽기 과제에 가까운 것
  • 전형성
    • 장르의 전형적인 특성이 잘 드러나는 것
  • 문화 정보
    • 한국 문화에 대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
  • 함축성
    • 제목이 자료의 전체 내용을 함축적으로 드러내는 것이 바람직함


난이도와 실제성이 상충하기도 한다

초급 학습자를 위한 실제 자료가 많이 없다 ??

예 : 메뉴판 읽기, 명함, 안부 편지


3.4.  읽기 과제 제시

과제의 정의

읽어보라고 시키는, 주어지는 임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내용, 작업의 절차와 일련의 결과를 지니는 학습 노력


과제의 역할
  • 이해를 돕고 통제하는 역할
    • 학습자의 주의를 이끌 거나 중요한 부분으로 제한함으로써 이해를 도움
  • 학습자와 글이 관련을 맺게 하고 전략을 개발하게 함
    • 새로운 글이지만 이미 알고 있는 배경 지식과 맺어주는 역할

과제 유형 : Nunan (1996)

  • 실생활적인 과제
  • 교육적인 과제

과제 유형 : Davies (1995)

  • 수동적 과제 : 독해를 점검하는 유형
    • 선다형 문제 풀기
    • 이해 확인 질문에 답하기
    • 빈칸 완성하기
    • 진위형 문제에 답하기
    • 어휘 학습
    • 빨리 읽기
    • 단락 순서 맞추기
  • 능동적 과제 : 참여를 유도하고 글쓴이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유형
    • 주요 부분 표시하기
    • 빈칸 채우기
    • 도표 만들거나 완성하기
    • 표 만들거나 완성하기
    • 글이나 도표 제목 붙이기
    • 글 순서 맞추기
    • 예측하기
    • 요약하기
    • 회상하기
    • 노트 필기하기

3.5.  읽기 전략 개발

전략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하는 의식적인 행동


성공적인 읽기 학습자인 경우

중요하지 않은 단어는 건너뜀
전체 문단 이해에 집중


전략의 유형 : Cohen (1990)

  1. 지원 전략
    • 상위 단계의 전략
    • 흝어 읽기 / 건너뛰어 읽기 / 글에 표시하기 / 어휘 풀이 사용
    • 손이나 눈의 움직임과 관련된 심리 운동학적 수준의 전략
  2. 인지 전략
    • 어휘나 문장 수준
    • 구문 간략화 / 아이디어 찾기 / 텍스트 기능 찾기 / 모어와 연결시키기
  3. 응집성 전략
    • 담화 수준, 전체적인 의미 이해
    • 글 조직하기 / 문맥 이용 / 글의 담화 기능 구별하기
  4. 초인지 전략
    • 읽기 과정을 점검하기 위한 전략
    • 실제 읽을 때 사용하지 않음
    • 자기 평가하기 / 계획 수정하기 / 잘못된 이해 알아채기
    • 글을 어떤 순서로 읽을지 계획하기


(1,2,3은 인지 전략, 4는 메타 전략)



4.  읽기 수업의 구성

3단계로 구성한다

4.1.1.  읽기 전

학습자의 배경 지식 (내용 스키마, 형식 스키마)를 활성화 시켜야 함.

주제만 본 상태

내용은 아직 보지 못했다.

  • 읽기 목적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
  • 자료 소개, 구조에 대한 내용도 소개
  • 하향식 과제를 제공 (주제에 대한 파악할 수 있는 자료)
  • 적당한 길이로 나누어 제공
  • 미리 파악하여 수업을 계획
  • 길잡이 질문을 제시하여 중심의미로 유도


활동 유형

  • 그림 보고 말하기 (도표도 포함)
  • 제목 보고 내용 예측해 보기 (기사의 제목을 보고 기사의 내용을 추측해 보기)
  • 글에서 전개될 가능성 예측해 보고 리스트를 작성하기 (자서전 같은 글인 경우, 탄생 - 어려움 - 극복 - 행복)
  • 주제에 대해 사전 질문하기
  • 훑어 읽기 / 뽑아 읽기
  • 사전 어휘 활동 (주제 관련된 어휘로 의미망 완성하기, 어휘 카드를 완성 시켜서 글 전체 내용을 예측)
  • 주제에 대해 교사가 가진 정보 제공하기  (저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등)
  • 문화적 차이에 대해 말하기 


4.1.2.  읽기 단계

과제를 실제적으로 수행


활동 유형

  • 목독하기
  • 문맥에서 어휘의 의미 추측하기
  • 텍스트 구조 이해하기 (인과관계, 나열, 비교, 대조, 묘사, 예시)
  • 예측 확인하기 (읽기 전 단계에서 작성한 리스트를 확인)
  • 담화 표지(標識)에 주의하기 (담화 표지 : 텍스트 구조에 따라 성공적으로 읽기를 하는 도구 (접속사, 감탄사 등))
  • 상세 정보 찾기 (정보를 제공하는 글인 경우에 읽으면서 상세 정보를 찾는다)


4.1.3.  읽기 후 단계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말하기, 듣기, 쓰기와 같은 다른 언어 활동에 이어가는 단계


활동 유형

  • 이해 확인하기 (OX문제, 그림 순서 배열해 보기)
  • 줄거리 다시 말하기 (읽은 내용을 줄거리를 다시 생각하면서 머리속에서 재구성하면서 요약하는 활동)
  • 주제나 핵심 생각 찾기
  • 어휘 확장하기 (글을 읽기 전에 새로 나오는 어휘를 소개하는 것보다 읽은 후에 소개하는 게 바람직하다)
  • 글의 구조나 단락과 관계된 과제 수행하기
  • 상세 정보 찾기 (주제에 맞는 내용이였는지 점검할 때)
  • 요약하기 (사소한 내용은 빼고 주제문을 찾아서 핵심 내용을 정리)
  • 토론하기 (저자의 견해, 찬반으로 나눌 수 있는 내용인 경우)
  • 역할극 하기 (전래 동화 등)
  • 개인적 경험 말하기
  •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글쓰기



4.2.  읽기 수업의 실제

신문 글을 읽은 수업에서의 예

읽기 전 단계

  • 확습 목표 확인하기
  • 그림 보고 말하기
  • 제목 보고 내용 예측해 보기
  • 흝어 읽기

읽기 단계

  • 목독하기
  • 글의 구조 파악하기
  • 상세 정보 찾기

읽기 후 단계

  • 이해 확인하기
  • 요약하기
  • 토론하기

0コメント

  • 100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