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韓国語教育検定試験)の勉強のために、整理です。
韓国語教育検定試験はこちら
1. 개요
교육 현장의 3대 요소 : 교사 / 학습자 / 교재
2. 교재의 정의와 기능
2.1. 교재의 정의
- 교육 내용이 매체 형식으로 교수와 학습자에게 전달되는 것
- 무엇을 배우는 가에 대한 내용으 담고 있는 총체물
- 숙달도에 따라 올라가는 체계 = 교육과정
- 수업 진행용 도구
2.2. 교재의 기능
- 교수-학습 목표 제시
- 교수-학습의 내용 규정
- 교수-학습의 전략 제공
- 평가의 대상과 자료 제공
3. 한국어 교재의 역사와 개발 현황
- 제1기 : 59~75
- 청화식 교수법
- 연세어학당
- 제2기 : ~88
- 대학교 부설 언어 교육 기관 신설
- 읽기 자료 증가
- 제3기 : ~00
- 의사소통식 교수법
- 제4기 : 도약기 : ~09
- 대학 기관 교재의 개정판 출판
- 교재의 다양화 전문화 : 언어권 학습자 상황 요인 언어 범주 언어 기능
- 다양한 삽화, 사진, 시청각 자료 사용
- 제5기 : ~현재
- 한류를 콘텐츠로 활용
- 한국어교육학 사전 출판 (2014)
교재 개발
- 영역 / 지역 / 국적 / 수준 / 성격 / 위상 / 목적 / 언어권 별로 개발되고 있다
-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됨
4. 한국어 교재 개발
4.1. 교육과정
개개의 교육과정은 국가 또는 해당 교육기관이 정한 교육목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설정
- 순수 어학 교육 목적 : 어학 연수, 진학 목적
- 한국어교육 전공 목적 : 한국어 교사 목적
- 학문 목적 : 진학 (전공 관련)
- 직무 수행 능력 목적 : 취업
- 민족 교육 : 재외동포들을 위한 교육, 민족 교육 (한국 역사, 문화, 예절)
4.2. 교수요목
교수요목의 8개 유형 (J. D. Brown : 1995)
- 구조 교수요목
- 상황 교수요목
- 최근에도 많이 사용
- 주제 교수요목
- 기능 교수요목
- 최근에 생김
- 개념 교수요목
- 기능 개반 교수요목
- 과제 기반 교수요목
- 혼합 또는 다층 교수요목
- 앞에 제시된 두 개 이상의 교수요목을 혼합한 형태
- 대부분 이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4.3. 한국어 교재 개발의 기본 원리
한국어 교재의 구성 원리 (김정숙 외 2006)
- 한국어 교수, 학습 목적을 충실히 반영
- 학습자나 교육 환경을 비롯한 다양한 변인을 고려
-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한국어
- 한국어와 함꼐 문화를 교육
- 학습자 요구를 반영
- 과정 중심의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 다양한 매체 이용
교재 개발의 절차 - 김정숙 외 2006
- 학습자 요구 조사
- 교육 목적 및 목표 설정
- 교육 내용의 범주 결정
- 교육 내용선정 및 방법 결정
- 내용의 배열 및 조직
- 교재 집필
- 교육과정 및 교재 평가
다시 1로 돌아감 (순환)
5. 교재의 평가 및 선정
우선 교재를 평가할 수 있는 눈을 키워야 함 = 교재 평가
교재 평가의 목적 (Cunningsworth 1995)
- 새로운 교재 선정을 위해서
- 사용하고 있는 교재를 평가해서 유지 또는 변용하기 위해서
- 평가를 통하여 교재에 대한 이해와 통할을 얻기 위해서
평가 및 선정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할 점은 ?
- 교재의 목적과 목표
- 언어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단기 / 1~6급까지 해서 진학 / 성인용 / 어린이용 등)
- 상세한 교수요목 (교재 앞 부분에 표로 나오 있음)
- 교수요목 구성 요소와 순서와 언어 기능을 합해서 교육하는가
- 교수 학습 상황
- 배우는 이유 (취미 / 진학 / 취업)
- 학습 시간과 기간 (단기:60시간 / 정규반:200시간 교재 사용)
- 학급 규모 (시종어학당 초기 상황 100명을 맏았었다)
- 언어 수준, 능력
- 교실, 장비, 보조 자료
- 학습자
- 나이, 수준, 경험, 동기
- 이전의 언어 학습 경험
- 선호하는 학습 스타일
- 흥미
- 교사
- 교사의 역할
- 교사가 선호하는 교수법
- 교사의 주도력
- 교사의 독창성 발휘 정도 (교재 +α를 넣을 수 있는가 등)
- 교수요목의 변형 가능성 정도(과제 추가 / 단원 순서 변경 등)
- 기존 교재의 개작과 추가의 권한 소유 여부
- 기존 교재 개작과 추가에 필요한 시간과 경험 여부
>> 평가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함
5.2. 교재 평가 및 선정의 기준
- 교육 과정 및 교수 요목
- 학습자의 요구 반영
- 학습 상황에 대한 적합도
- 필요한 내용의 포함
- 교재의 구성
- 등급별 구성
- 진도의 제공
- 교수요목에서 요구하는 사항들의 성취 가능성
- 교재의 재사용과 교정의 가능성
- 문법 설명의 적정성
- 레이아웃의 선명도
- 교재 사용의 용이성 (크기, 무개 등)
- 언어 목록 (내용)
- 문법: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맞는지
- 새로 나온 문법이 후에 충분히 반복되는가.
- 어휘: 적당한 양과 적합한 범주
- 발음 교육 포함
- 언어 구조와 담화에 대한 교육 포함
- 언어 사용 : 사회적 상황에 적합
- 언어 기술
- 말하기 / 읽기 / 듣기 / 쓰기
- 분리? 통합?
- 통합적으로 균형을 이루어서 한국어 실력을 높여주는가
- 학습자의 수준이나 흥미에 적합한가
- 녹음 상태가 어떤지
- 쓰기는 지시안내문이 정확한가
- 주제
- 흥미를 반영
- 다양하고 광범위
- 학생들의 지식과 경험을 풍부하게 하는 주제
- 수준에 맞게 복잡하면서 정교한 주제
- 방법론
- 학습 방식이 교수 학습 상황에 적합한지
- 학습을 돕기 위한 장치 (학습 전략) 포함 여부
- 교사용 지도서
- 적절한 안내 제공
- 교수 방법이나 문화 특징적 정보 포함
- 해답 제시 여부
- 그 외 실제적인 고려 사항
- 값
- 내구성
- 외양
- 추가 구입 용이성
- 특별한 장비 필요한지
6. 기능별 교재
각 기능별 교재 평가, 선정, 사용 시 점검사항 (이해영, 2001)
6.1. 말하기 교재
- 구어에 얼마나 중점을 두고 있는가
- 실생활의 상호작용을 익히도록 되어 있는가
- 말하기를 위해 어떤 자료와 교실 활동을 포함하는가
- 구어 상황에서 불예측성을 다루는 데 도움이 될지
- 다른 언어 영역과 연계가 돼서 통합 되는지 / 통합 시 제공되는 활동은 필수적인지 선택적인지.(필수로 되어 있으면 수업 시간이 길어짐)
6.2. 듣기 교재
- 구어의 유형을 잘 반영하고 있는가
- 실제에 가깝게 녹음되었는지
- 녹음된 테이프 내용의 음질, 말의 속도, 억양, 실제성
- 영상 자료는 얼굴 표정, 몸짓, 분위기를 보여줄 수 있도록 시각적 매체가 잘 이용되는가
- 영상을 보다가 영상이나 내용에 집중해서 들어야할 부분을 놓칠 수 있다
- 도입 부분에서 잠깐 보여주는 정도로 잘 이용된다
- 학습자의 인지적 수준에 적절하게 부합되는가.
- 새로운 경험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가.
- 한국어를 배우는 거지만 몰랐던 지식을 배워서 지식을 풍부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가
- 실생활 과제 포함
- 전략
- 다른 언어 영역과 연계가 돼서 통합 되는지 / 통합 시 제공되는 활동은 필수적인지 선택적인지.(필수로 되어 있으면 수업 시간이 길어짐)
6.3. 읽기 교재
- 문어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는가
- 다양한 유형
- 학습자의 인지적 수준과 흥미에 적절하게 부합되는가
- 새로운 경험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가.
- 글이 좋아야 한다
- 다른 언어 영역과 연계가 돼서 통합 되는지 / 통합 시 제공되는 활동은 필수적인지 선택적인지.(필수로 되어 있으면 수업 시간이 길어짐)
- 일상생활의 개연성 있는 읽기 (실생할에 필요한 과제가 포함 되어 있는지)
6.4. 쓰기 교재
- 문어적인 글쓰기 활동이 제안되는가.
- 텍스트의 유형에 따른 문어체의 다양한 문체가 강조되는가
- 메일 / 편지 / 일기 ...(격식체 / 비격식체 / 해라체)
- 교실 활동 중에 유도된 쓰기 / 통제된 쓰기 / 문단 쓰기 등의 활동이 유도되는가
- 예: 일기 쓸 때부터 문단을 나눠서 쓰게 한다
- 쓰기 규칙이 교수되는가
- TOPIK에서는 띄어쓰기, 맞춤법, 원고지 양식을 알아야 함
- 정확성에 얼마나 중점을 두는가.
- 결과 중심 (숙제해오는거)인가 . 과정 중심인가.
- 쓰기 활동의 목적과 독자층을 설정하고 활동이 제시되는가
- 실생활 쓰기 과제를 포함하는가
- 다른 언어 영역과 연계가 돼서 통합 되는지 / 통합 시 제공되는 활동은 필수적인지 선택적인지.(필수로 되어 있으면 수업 시간이 길어짐)
7. 특수 목적 교재
7.1. 웹 기반 한국어 교재
- 학습자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
- 학습자 중심
- 시공간 제약이 해결된 자유롭고 자발적인 접근이 가능
- 게시판 등을 통한 실제적인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 시차가 있어서 힘듦
- 말하기를 실시간으로 하기 힘듦
- 멀티미디어 환경을 통한 다양한 정보
- >> http://study.korean.net
- 쉽게 접근하고 이동할 수 있는 화면 구성
- 유의미한 피드백을 제공 (UI, UX)
- 지원 체계 (과제 같은 것은 어떻게 관리하느냐)
7.2.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 학문 목적 학습자에게 맞는 교육 목표 설정
- 학문적 요구 (전문성) <<--- 전문 분야 내용 전문가가 필요함
- 강의 듣기, 시험, 보고서 작성, 발표 등에 필요한 쓰기 기능이 강화된 교재
7.3. 직업 목적 한국어 교재
- 한국에서 일하는 사람 / 외국에서 한국인과 많이 접촉하는 사람이 대상
- 1차 대상 (단순 근로자) : 제조업, 건설업, 서비스업 종사자
- 2차 대상 (전문 근로자)
- 이주 노동자를 위한 일상생활, 직장생활, 현장업무 상황을 고려
- 현장 전문가의 협력이 필요
7.4. 다문화 가정 여성 대상 한국어 교재
- 결혼 이주민 (남성 / 여성)
- 이주민 (귀화한 학습자)
- 외국인 배우자 대상
- 부부간 대화의 어려움
- 지역에 따라 표준어와 방언의 구분 학습
- 다문화가정 자녀 수 증가 -> 자녀와 외국인 부모 사이 소통이 안 됨
- 자녀의 인지능력이나 언어능력 발달에 장애 요인
- 내국인 (배우자)에 대한 학습이 필요할 수도 있음 (그냥 하면 되지..정도로 생각함)
- 교재 개발 시 고려할 점
- 사회적 측면
-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
-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전략 (한국사람의 행동이나 제스처의 의미)
- 일상 문화에 대한 교육은 필수
- 학습자 측면
- 학습 동기와 목표 충족 위한 언어 학습 + 문화 학습
- 예: 연필, 공책 보다는 부엌, 칼, 야채 이름등을 먼저 배운다
- 학부모 측면
- 학부모로서 접하게 되는 의사소통 상황 중심 주제와 기능 선정
- 예: 선생님과의 상담
- 교수-학습 상황 측면
- 방문 교육, 집합 교육
- 집에서도 혼자 공부할 수 있게 언어권별 교재 필요
- 지역별 편차: 교재 개작, 부교재 제작 필요
8. 한국어 교육용 부교재 제작과 활용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부교재 사용의 어려움
> 역사가 짧아 부교재 개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시간이 충분하지 않았음
8.1. 교육용 부교재의 정의
- 수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여 말함
- 주교재 이외의 자료는 모두 다
- 교사의 말, 교육 목적으로 제작된 자료, 실제 자료 등
8.2. 부교재의 사용 목적
- 학습 효과를 극대화 = 흥미 유발
- 가능한 한 모국어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만든다
- 많은 자료를 제공하여 이해를 돕고 쉽게 응용할 수 있게
8.3. 부교재의 기능
- 이해를 증진
- 활용 가능성 높임
- 평가에 도움을 준다
- 교사와 학습자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다
- 초급단계에서는 매개언어가 없을 수 있음 (영어를 모두가 이해하지는 않음)
- 교사의 역할을 일부 대신할 수 있다
8.4. 부교재의 선정 기준
- 수업에서 가르치고자 하는 내용과 맞는지
- 꼭 필요한 부교재인지 살펴본다
8.5. 선정 시 고려할 점
- 학습자 관련 요인
- 나이, 성별, 성격
- 숙달도 수준, 선행 학습 정도
- 문화/사회적 배경
- 학습 목적
- 기술, 환경적 요인
- 예: 프로젝터나 스피커가 필요하다
- 경제적 요인
8.6. 부교재 제작 시 주의할 점
- 내용이 명료해야 함
- 동기를 유지하고 흥미를 갖도록
-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어야 함
8.7. 부교재의 종류
1) 언어 자료
1-1) 예문
-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
- 연습지를 통해 배부되거나 판서를 통해 제공
- 출판된 책이나 신문에서 예문을 선택하여 제공할 수도 있음
1-2) 의사소통 중심의 과제
- 유창성 재고 목적
-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목표 달성을 목적으로 해야 함
- 도입 - 제시 - 연습 - 사용 - 마무리의 순으로 진행
- 실제적인 과제 자료를 많이 활용
- 정보 찾기 / 문제 해결 / 토론 / 역할극 / 게임 등
2) 청각 자료
2-1) 교사의 육성
- 직접 의사소통이 가능함
- 교사의 육성만으로 수업이 진행될 시 자칫 준비 없는 수업으로 보일 수 있음
2-2) 시디, 오디오 파일
- 학습 목적으로 제작된 시디, 실제 자료 파일 등을 사용할 수 있음
- 내용 선정에 유의해야 함
- 노래인 경우 : 가사가 문법이 이상함
3) 시각 자료
3-1) 칠판
- 판서를 오래 하게 되면 학습자가 놀게 됨
- 옆으로 쓰면 효과적
- 획순(劃順) 기본적인 순서로 써야 함
- 학습자와 계속 시선 교환
3-2) 카드
- 자 - 모음 카드
- [ㄱ] + [ㅏ] = [ㄱ][ㅏ]
- 명사, 동사, 형용사 카드
- 형용사, 동사를 카드 색을 다르게 해서 제작해서 활용을 수월하게 할 수 있게 한다
- 그림 카드
3-3) 사진, 차트, 실물/모형 자료
- 쉽게 설명이 전달되지 않는 내용 교수 시
- 한국에만 있는 물건이나 음식에 대한 내용
- 사진 대신 모형으로 대치하여 사용 가능
3-4) 시청각 자료
- DVD, video
- 자막이 있을 경우 수업 전 교사가 검토해야 함
- 자막이 실제 말하고 틀린 경우가 있음
9. 마무리
교재
- 교육에 대한 모든 이론과 실제를 포함
-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 작용을 위한 자료
교재의 역할
- 학습자의 학습 동기 유발
- 자발적 학습활동 자극하여 학습 결과 도출
- 사고력 발전 촉진
- 학습의 다양성과 교육의 능률화 (학습 내용 이해 시간 절약)
- 동시에 많은 학생에게 동일한 학습 경험: 학생의 개인차 최소화
- 학생 스스로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하는 기능의 학습
- 교재를 통한 직접적인 연상, 간접 경험 통해 학습 기억의 영속화
- 목표어에 대한 지식 구조를 기억하기 쉽게 하는 수단
- 단시간 내 목표 언어 사용권의 문화와 사회에 대한 이해 증진
교재 개발 및 분석을 위한 제언
- 이론과 실제가 조화된 좋은 교재 선정과 개발이 필요
- 학습 집단, 학습 단계, 사용 기관 등 학습자 요인에 따른 교재 개발 필요
- 교재 분석 기준: 상황과 현실에 따른 응용 필요
- 교재의 평가 및 개선을 위한 교재 분석의 지속적 연구 필요
0コメン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