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語教育養成課程] 한국어 평가론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韓国語教育検定試験)の勉強のために、整理です。

韓国語教育検定試験はこちら


1.  평가의 개념

  • 가치를 판단하는 행위
  • 취할 것인지 버릴 것인지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
  • 바람직한 평가를 위해서 평가 대상에 관한 정보나 자료 수집이 중요하다


1.2.  언어 평가의 개념

  • 학습자의 언어 평가
  • 의사소통을 얼마나 잘 하는지
  • 시험을 통해서 평가하지만, 실제 상황에서 얼마나 의사소통 능력을 발휘하는지 알기 힘들다

추정의 원리 (이완기: 2003)

평가 수행에 대한 정확한 측정과 해석을 통해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파악하는 것이 관건임


1.3.  언어 평가의 목적 및 기능

  1. 학습 강점과 약점을 진단
  2. 학습자 선발
    • 예: 시험 성격에 따라서 대학교 입학이나 회사 취업에 선발 기준이 된다
  3. 총체적인 숙달도 등급의 확인
  4. 학습 동기와 학습 목표를 부여
    • 잘 구성된 평가는 학습자에게 동기를 부여한다
    • 높은 성격이 나온다면 더 노력하고 발전하게 된다
    • 학습자들의 수준을 약간 높여주는 시험, 평가 기준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교육프로그램 평가 및 교수요목 설계의 기초 자료 제공
    • 교육 과정 구성에 대한 평가
    • 결과가 교육 과정에 피드백 되는 순환적인 관계
  6. 언어 교육의 연구 자료로서 공헌
    • 평가의 데이터를 토대로 만들어진 게 토픽
    • 학습자의 시험지나 답안지가 연구 자료가 된다



2.  평가의 요건

2.1.  타당도

  • 검사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되는 요소
  •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실제로 측정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


종류

  1. 내용 타당도
    • 전문가가 내용을 보고 적합한지 아닌지를 평가
    • 어느 한 쪽에 치우치고 있는지를 본다
  2. 구인 타당도
    • 구인:  조작적으로 정의되지 않은 인간에 심리적인 특성 또는 성질에 대한 과학적인 개념을 부여해주는 것
    • 예를 들어서 "지능"을 평가할 때 언어능력, 계산능력, 공간지각력, 추리력과 같은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성 요소들로 구체화 시키는 것 = 구인
    • 평가 기준의 구인이 타당한지 : 통계적인 수치로 제시되는 개념
  3. 예언 타당도
    • 현재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얼마나 미래의 행위를 예측할 수 있는가.
    • 토픽에서 좋은 결과를 얻은 학생이 대학교를 입학한 후에도 좋은 성적을 가진다 = 예언 타당도가 높다
  4. 공인 타당도
    • 토픽은 국가에서 공인해준 거
    • 토픽에 있는 문제와 강사가 직접 만든 문제지를 비교해서 학생들 결과에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로 확인 가능 (선생님이 만든 시험지는 쉬웠는데 토픽은 떨어졌다.....  선생님 만든 시험지에 문제가 있다)


2.2.  신뢰도

종류

  1. 시험 신뢰도
    • 문항 수, 문항 난이도, 문항 변별도, 평가 내용의 범위, 시험 시간의 영향을 받는다.
    • 문항 수가 많을 수록 기계적으로 신뢰도가 높아진다.
      • 그렇다고 평가와 전혀 상관없는 문제를 추가하면 타당도가 떨어진다.
    • 난이도는 적절할 때 신뢰도가 높아진다.
    • 문항 변별도(잘하는 학생과 못하는 학생을 구분해내는 정도)
      • 변별도는 높을 수록 신뢰도가 높아진다.
      • 잘하는 학생을 더 잘할 수 있게
    • 평가 내용의 범위는 좁을 수록 신뢰도가 높아진다
    • 시험 시간은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 기타, 시험 장소, 조명 밝기, 소음 등이 있다
  2. 채점 신뢰도
    • 채점자 내 신뢰도: 내 안에서 얼마나 일관된 채점을 할 수 있는가
      • 하루에 700자 작문을 120장 해야 된다면...?
    • 채점자 간 신뢰도: 채점자가 2명 이상일 경우
      • 채점하기 전에 기준이나 지침을 훈련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2.3.  실용도

  • 최소한의 경비, 노력, 시간을 들여 최대한으로 평가 몰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
  • 경제적인 차원


종류

  1. 평가 실시의 용이성
  2. 채점의 용이성
  3. 해석의 용이성
  4. 경제성



3.  언어 능력 평가의 역사

총 4단계 역사로 나눌 수 있다


3.1.  과학이전 시기

  • 1950년대까지
  • 문어체 위주의 문법 번역식 교수법이 널리 사용됨
  • 타당도, 신뢰도는 거의 무시


3.2.  심리측정 및 구조주의 시기

  • 과학적 시기
  • 통계학이 매우 발달
  • 언어 능력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객관성을 강조
  • 하나하나의 언어 기능을(문법, 어휘, 발음 등) 분리해서 평가
  •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 사용의 실제는 무시되었다


3.3.  심리언어학 및 사외언어학적 시기

  • 1970년대
  • 언어평가에 대한 통합적 접근 대두
  • 의사소통의 전체적이고 통합적인 성격을 반영
  • 무의미한 암기는 하지 말고 언어 습득, 인지를 강조하는 시기
  • 여전히 언어 평가에 있어서 타당도의 문제점은 남아 있음


3.4.  의사소통적 시기

  • 단지 하나의 단일요인으로 보는 시야에서 탈피
  • 언어 표현의 정확성보다는 평가에 주어진 과제의 실현에 바탕을 둔 의사소통의 효율성이 중심
  • 타당도와 신뢰도를 강조



4.  언어 능력 평가의 유형

객관식 평가

  • 선다형, 진위형 등 
  • 기계적으로 평가가 가능

주관식 평가

  • 자유작문 시험, 면접
  • 전문가의 주관적인 평가


직접 평가

  • 구두 시험, 작문 시험

간접 평가

  • 다지선다형, 빈칸 채우기


분리 평가

  • 문법, 어휘, 독해 등과 같은 항목을 구분하여 평가

통합 평가

  • 종합적으로 평가
  • (요새 시험은 듣고 쓰기, 읽고 말하기와 같은 통합적으로 구성됨)


준거지향 평가

  • 언어 능력이 정해진 교수 목표에 도달했는지를 평가
  • 합격 / 불합격으로 판단
  • 다른 학습자와의 비교는 안 함
  • 예.. 한국어능력시험과 같은 만점을 딸 필요가 없고 통과하면 됨

규준지향 평가

  • 상대 평가
  • 서열, 순위
  • 규준이 되는 점수가 평균이 됨
  • 집단에 있어서 상대적인 위치를 알게 됨
  • 문제 난이도는 다양하게 내야 함 (어려운 거와 쉬운거를 조금씩, 중간을 많이)


성취도 평가

  • 프로그램의 평가 목표에 어느 정도 도달했는지를 평가
  • 학교에서는 보는 중간고사나 기말고사와 같다

숙달도 평가

  • 개별 언어의 요건과 언어 능력이 일치하는가를 평가
  • 전반적인 언어 능력의 측정
  • 언어 지식보다는 실제적인 언어 사용 능력을 본다


진단 평가

  •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기 위한 평가
  • 학습자의 수준을 알기 위해 한다

배치 평가

  • 능력에 맞는 배치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실시한다


표현 능력 평가

  • 말하기, 쓰기와 같은 표현 능력에 관한 시험

이해 능력 평가

  • 듣기, 읽기와 같은 이해 능력에 관한 시험


 

5.  평가 도구 개발

< 평가 도구의 개발 과정 >

  1. 평가의 기획
  2. 평가 항목의 선별
  3. 문항과 지시문 작성
  4. 문항 검토와 사전 평가
  5. 최종형태 제작
  6. 평가 결과의 해석과 활용


5.1.  평가의 기획

교육과정 목표를 평가 항목으로 세분화하는 작업 필요

평가의 형태, 문항 형식, 문항 수 결정


5.2.  영역별 평가 항목의 선별

영역을 선정하여 항목을 선별

평가 항목 선별 후, 출제 구상표(계획도)를 작성

(교과서 앞 부분에 있는 단원 별 유형, 의도, 평가문항, 내용, 텍스트 유형을 표로 만든 것. 전체 흐름을 볼 수 있고 내용이 한 분야에 치우치지 않는가 와 같은 균형을 확인할 수 있다)

평가의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는 작업


5.3.  문항과 지시문 작성

문항은 채점의 기본 단위가 된다

  1. 문항의 내용과 평가의 목표가 일치해야 한다
  2. 문항은 복합성을 지녀야 한다 (단순한 암기는 바람직하지 않다)
  3. 문항의 형식과 내용은 참신해야 한다 (매번 같은 형식은 지루하다)
  4. 문항을 체계적이고 명료하게 구성해야 한다
  5.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문항을 구성해야 한다
  6. 문항 제작 원리와 검토 지침에 충실해야 한다


문항의 유형

  • 진위형 (true / false)  문항
    • 지침
      • 진술문이 복합문이거나 긴 문장이 되지 않게
      • 한 가지 해석만 가능하게
      • 긍정문으로 작성하도록 하며, 부정문을 사용할 경우에는 따로 표시를 한다
      • 사소한 어휘를 조작하여 거짓 진술문을 작성하지 않도록
      • 진과 위의 진술문 문항 길이와 문항 수가 서로 균형을 이루도록
      • 정답의 배열이 무작위가 되도록 배열한다
    • 장점
      • 채점이 신속하고 객관적인 평가 가능
      • 신뢰도가 높다
      • 다른 문항으로 변형이 수월함
      • 답지를 제작할 필요가 없고 경제적이다
    • 단점
      • 단편적인 이해력의 측정으로 제한되기 쉽다
      • 이분 점수이므로 문항의 변별력이 낮을 위험이 크다
      • 50% 확률로 맞출 수 있다
  • 배합형 (matching form)
    • 지침
      • 리스트A와 리스트B의 항목을 서로 연결 시킨다와 같이 무엇과 무엇이 연결시키는지를 분명하게
      • 전제 군과 답지 군 사이에 동질성이 있어야 한다
      • 문제의 수가 너무 많지 않도록
      • 추측에 의해 답을 할 확률을 제거하기 위해 전제 군과 답지 군의 수를 다르게 한다
    • 장점
      • 신속하고 객관적인 채점
      • 문항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이 적다
    • 단점
      • 좋은 배합형 문항 제작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
      • 단편적인 정보 지식의 기억을 평가하게 된다
      • 추측으로 인해 문항을 풀어버릴 수 있다
  • 선다형 (multiple-choice form)
    • 지침
      • 지시문은 중요한 내용을 모두 함축하면서도 간결하게
      • 시제, 조사를 위해서 정답이 시사되지 않도록
      • 긍정문으로 구성하는 게 바람직하다. 부정문인 경우는 표시를.
      • 이중부정은 피한다
      • 정답지와 오답지의 길이가 비슷하도록
      • 오답지의 매력도가 있어야 한다 (한 번 쯤 교란하게 만들어야 함)
      • 한 문항의 답지는 내용, 형식, 구조면에서 동질적이어야 한다.
        • 점심에 무엇을 먹었습니까? 1. 밥 2. 냉면 3. 김밥 4. 학교
      • 한 문항의 내용이 다른 문항 정답의 선수 요소가 되지 않도록 (1번 선택지의 2번 정답이 있는 경우)
      • 정답 반호 비율이 비슷하도록 ( 똑같이 하는 건 안 좋다)
    • 장점
      • 신속하고 객관적이고 신뢰도가 높다
      • 오답지를 수정함으로써 난이도를 능률적으로 조절 가능
      • 비교적 많은 평가 항목을 포함시킬 수 있고 다양한 난이도의 문항을 제작할 수 있다
      • 난이도, 변별도, 문항 반응 분포 등의 문항 양호도 분석을 위한 통계 처리가 쉽다
    • 단점
      • 오답지의 매력도를 살린 문항 제작이 어렵다
      • 단편적인 이해력의 측정에 제한되게 쉽다
      • 25% 확률로 맞출 수 있다
  • 단답형 (short-answer form)
    • 지침
      • 질문이 명료
      • 정답으로 간주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답을 채점표에 기록해 둔다
      • 내용의 이해를 측정하는 문항의 경우 문법적 오류의 처리 기준을 사전에 정한다
        • 듣고 내용을 쓰는 문항일 경우 맞춤법 오류는 무시한다 등
      • 여백을 충분히 제공한다.
    • 장점
      • 제작하기가 비교적 쉽다
      • 비교적 많은 평가 항목을 포함시킬 수 있다
      • 과제수행 시간과 채점 시간의 측면에서도 효과적
      • 선택형보다는 추측의 영향을 덜 받는다
    • 단점
      • 정답이 명확하게 하나가 되기가 어렵다
      • 채점시 정서법 처리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 논술형 (essay)
    • 지침
      • 과제 수행 시간을 고려해야 한다 (700자 쓰는 문항의 시간은 ?)
      • 채점 기준을 상세화해야 한다
      • 여러 개의 문항 중 선택해서 답하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장점
      • 제작이 비교적 용이하다
      • 정보를 선정, 조직, 분석, 통합, 평가하는 언어 기능을 측정 가능
      • 100% 추측요인이 제거된다
    • 단점
      • 문항의 양호도 검증이 어렵다
      • 객관적인 채점이 어렵다
      • 채점하는 데 많이 노력과 시간, 전문성이 요구된다



5.4.  문항의 검토와 사전 평가

검토

"문항 점검표"를 이용

출제자의 자가 검토 및 동료와의 상호 검토


사전 평가

민감도가 높은 시험인 경우에는 사전 평가가 필요하다


문항 평가되는 포인트는 아래와 같다

1.  난이도

  • 난이도 = 문제를 맞춘 피험자 수 / 전체 피험자 수 * 100
  • 전체 응답자 중 문항을 맞힌 응답자의 비율을 말함.
  • 0.25 이하 - 어렵다
  • 0.75 이상 - 쉽다


2. 변별도

  • 능력 있는 피험자와 그렇지 못한 피험자를 구분해 내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 상위 25%와 하위 25% 집단에 답안지를 보고 판단한다.
  • 상위25%가 맞친 문항을 하위25%가 틀리면 정상이고 변별도가 높은 문항



5.5.  최종 형태 제작

각 문항에 대한 배점을 결정하고 문항을 배열

  • 난이도가 쉬운 문항부터 어려운 문항 순으로 배열
  • 정답지 번호의 비율이 일정하고 정답 배열 순서가 무선이 되도록
  • 문제지 한 쪽 끝과 다음 쪽 처음에 걸치는 문항이 나오면 안 됨
  • 단답형, 논술형 문항은 답을 쓸 충분한 공간을 제공
  • 영역별로 시간이 따로 측정된다면 그에 관한 지시 사항을 기입



6.  한국어 능력 평가

6.1.  영역별 평가의 유형

영역 : 말하기 / 읽기 / 듣기 / 쓰기


1.  듣기 평가

문항은 너무나 많기 때문에 일부만 소개

  1. 듣고 고르세요.
    • 녹음: 장
    • 선택지: 잔 / 잠 / 장
  2. 문장을 듣고 일부 채우기
    • 녹음: (팔)이 아파요.
    • 선택지: 팔 / 발 / 탈 / 딸
  3. 문장이나 대화를 듣고 적절한 반응 찾기
    • 녹음: 가.  미안합니다.  나.                      .
    • 선택지: 감사합니다 / 고맙습니다 / 축하합니다 / 괜찮습니다.
  4. 문장 듣고 유사한 문장 찾기
    • 녹음: 한국어를 배운지 6개월 됐습니다.
    • 선택지:
      • 한국어를 6월부터 배웠습니다.
      • 한국어를 6개월 전부터 배웠습니다.
      • 한국어를 6개월 동안 배우면 됩니다.
  5. 담화 듣고 담화의 요소 파악하기
    • 보편적인 배경지식을 풀 수 없을 경우가 있어서 일반적으로 내기 어려워서 사라진 문형
    • 녹음:
      • 가. 소설책은 어디에 있어요 ?
      • 나. 저쪽에 있어요.
    • 선택지: 여기는 어딥니까 ?
      • 사진관 / 우체국 / 도서관 / 병원
  6. 그림 보고 맞는 설명이나 대화 찾기 / 담화 듣고 맞는 그림 고르기
    • 사진이 선명해야 함.
    • 녹음: 오늘 날씨는 맑겠습니다.
    • 선택지: 사진이 여러 개
  7. 담화 듣고 그림 나열하기
    • 요리 만드는 방법인 경우가 많다
    • 그림으로는 볶는건지 굽는건지 써는건지 다지는건지 알기 힘듦
  8. 담화 듣고 그림, 지도, 도표 등을 완성하기
    • 예: 여행사에 전화하는 담화를 듣고 스케쥴 표를 완성하기
  9. 담화 듣고 담화의 중심 소재 및 내용 고르기
    • 내용을 완전이 이해해야 하기 떄문에 난이도가 높다 (4급 이상)
  10. 담화 듣고 내용과 일치 / 일치하지 않는 것 고르기
    • 선택지는 골구루 구성해야 하고, 짧은 문장부터 긴 문장 순으로 나열한다
    • 녹음: 
      • 민수: 수잔 씨, 한국 음식 좋아하세요.
      • 수잔: 네, 냉면을 좋아해요.
      • 민수: 냉면이 맛이 있어요 ?
      • 수잔: 그럼요, 아주 맛이 있어요.
    • 선택지:
      • 가. 수잔 씨는 냉면을 좋아합니다.
      • 나. 민수 씨는 냉면을 좋아합니다.
      • 다. 수잔 씨는 한국음식을 싫어합니다.
      • 라. 민수 씨는 한국음식을 싫어합니다.
  11. 듣고 받아쓰기
    • 문장을 듣고 빈칸을 채우(받아쓰)는 문항
  12. 정보 찾기
    •  문장을 듣고 그것을 요약한 문장의 빈칸을 채우는 문항
  13. 세부 내용 파악하기
    • 자주 사용되는 문항
    • 대화를 듣고 물음에 답하시오.
  14. 화자의 태도, 어조 파악하기
    • 문장이나 담화를 듣고 화자의 태도, 생각에 대해서 고르세요. 등
    • 녹음: ----- 긴 문장
    • 선택지: 다음 토론을 듣고 여자는 ~ 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고르십시오.
      • 비관적
      • 효율적
      • 실용적
      • 긍정적


듣기 평가 구성 및 시행할 때 유의할 점

  • 평가 자료가 실제성, 자연성, 명확성 유지
  • 다양한 담화 유형을 반영해야 한다
  • 숙달도 수준, 평가 목표나 주제에 따라 평가 유형을 선정해야 한다
  • 지엽(枝葉)적 언어 요소보다는 전체 내용 파악하도록
  • 듣는 내용의 배경이 반드시 들어가도록 문항을 구성한다.
    • 학생의 배경 지식을 고려해서 일방적인 맥락에서 구성한다
    • 미리 제시해도 되고 담화 안에서 벼경을 말해도 됨
  • 듣기 자료는 잉여성과 중복성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 중요한 내용은 반복되도록
  • 선택지에는 듣기 자료에 나온 말이 등장해야 하고 내용보다 쉬운 말로 짧게
    • 녹음 내용과 다른 어휘가 나오면 듣기에 대한 평가를 제대로 할 수 없음 (읽기가 되어버리기 때문)
  • 듣고 나서 쓰기를 통해 평가를 하게 되는 경우, 쓰기 능력 (예. 맞춤법)에 좌우되지 않게 한다
  • 시험 관리자에게 시험 실시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지시 사항을 알려줘야 한다
  • 녹음 소리가 잘 들리도록 고려한다


2.  말하기 평가

문항 소개

  1. 개인적 인터뷰
    • 간단한 질문에 대답하는 형식
  2. 짝짓기 인터뷰
    • 서로 짝이 도어서 동일한 문제에 답하는 유형
  3. 그림이나 자료를 활용해서 설명을 시키는 유형
  4. 역할놀이 (롤플레이)
    • 상황을 준비
  5. 주제를 주고 토론하기
    • 중급에서 고급이상
    • 예: 친구 생일에 줄 선물에 대해서 예기한다
    • 예: 양심적 병역 거부 문제에 대한 찬성하는 입장 / 반대하는 입장에서 토론
  6. 발표하기
    • 초급 ~ 고급까지


- 듣기 평가는 채점하는데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말하기나 쓰기는 채점 기준을 명확히 설정해 놓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채점 기준의 예시

>  아래 항목으로 5점만점으로 채점을 한다

  1. 인터뷰
    • 발음 / 어휘(문법) / 이해 및 응답의 적절성 
    • 총 15점
  2. 역할 놀이
    • 이해력
      • 질문을 이해 못 하면 2회까지 반복
      • 보충 설명을 통한 응답 시에는 2점 감점
    • 발음
    • 어휘/문법
      • 어휘/문법 오류  1회 1점 감점
      • 주요 문형 (진행중인 단원에서 배우는 문형)으로 대답을 못한 경우 감점
    • 유창성
      • 지나치게 느리게 답하거나 짧게 답할 경우 감점
    • 과제 수행 << 매우 중요함
    • 총 25점
    • 감점하다 보면 마이너스 될 수도 있으니 항목마다 3점까지 감점한다든지 다른 기준이 필요
  3. 토론
    • 토론 능력: 이해력, 대응력, 논리성, 참여횟수
    • 언어 능력: 유창성, 고급 표현, 발음/억양
    • 기타: 임하는 태도, 준비성


말하기 평가 구성 및 시행할 때 유의할 점

  • 문법 정확성(능력) 측정보다는 과제 수행에 초점을 두도록
  • 평가가 과제가 실제적이고 흥미를 유발 할 수 있어야 한다
    • 말할 거리가 있어야 함(주제가 중요함)
  • 학습자의 수준과 평가 목표등에 맞는 평가 유형 선정
  • 과제 수행의 결과가 분명히 나와야 한다
  • 학습자가 무엇을 수행해야 하는지 명확히 제시해 줄 수 있어야 한다
  • 학습자가 계속 말하고 강사는 계속 평가만 하고, 또는 녹음을 한다든지 하고 학습자에게 부담을 많이 주지 않고 편안한 부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 평가자는 많이 듣고 말하게끔 유도해야 한다
  • 돌발 상황에 잘 대처하기 위해 평가자의 경험과 훈련이 필요하다
    • 갑자기 운다든지 화를 내면서 나간다든지
  • 채점 기준들이 정확히 설정되는 것이 필요하고 채점자가 동일하게 적용하도록 한다(기준을 맞춰야 한다 = 채점자 훈련)



3.  읽기 평가

문항 소개

  1. 문장을 읽고 그림 고르기
    •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는 문항 중 하나
    • 예: 자기 소개를 읽고 선택지에 있는 국기를 고르세요  ->  어느 나라 국기인지 알 수 없을 수도 있음
  2. 유의어, 반의어 찾기
    • 반대말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
    • 초급에서는 <보기>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3. 문장 내의 틀린 부분 찾기
    • 고치는 건지 표시만 하는 건지 정확히 지시해야 한다
  4. 문장 내 단어의 의미 찾기
    • 예. 밑줄 친 부분과 의미가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 ~~~  눈감아 버리는 예가 많다.
    • 선택지:  알기 힘든 / 보기 싫어하는 / 모르는 척하는 / 처음 보는 것 같은
  5. 문장 내 적절한 어휘, 문장 고르기
    • 답이 반드시 하나가 되도록 구성해야 한다.
      • 예.  용돈을 (       ) 일을 합니다.
      • 선택지:  벌고 / 벌면 / 벌어서 / 벌기 위해서
    • 벌고, 벌면, 도 될 거 같은 느낌적인 느낌..
  6. 대화 구성하기
    • 대화 내에 빈칸이 있고 그 부분을 채워서 완성시키는 문제
  7. 문장을 읽고 관계 있는 문장 찾기
    • 예: 설명을 읽고 그와 같은 뜻을 갖는 관용구를 고른다
  8. 텍스트 읽고 글의 중심 소재 찾기
    • 문장을 읽고 소재가 될 만한 것을 고른다
    • 예: 아침에 도착하면 출근 버튼을 누르고 회의가 있으면 가고 ~~~
    • 답지: 학교 / 직장 / 학원 / 공항
  9. 문맥에서 어구의 의미 파악하기
    • 예:  아이들의 심한 장난 떄문에 방을 아무리 치워도 꺠끗한 날이 없어요
    • 답지: 더럽혀도 / 수선해도 / 정리해도 / 세탁해도
  10. 접속사 고르기
    • 많이 쓰는 중요한 문항
    • 문장과 문장 사이에 있는 빈칸에 접속사를 적절하게 골라서 넣는다
  11. 중심 내용 파악하기
    • 긴 문장을 읽고 중심 내용을 고르는 건데, 답에 아닌 오답 내용도 문장 내용과 관계가 있는 걸로 해야 한다
    • 문항 만들기가 쉽지 않음
  12. 주제문 찾기
    • 긴 문장에 한 줄 씩 기호가 붙어 있고 어떤 것이 중심 내용, 주제가 되는 내용인지를 고르는 유형
    • 보통 제일 앞이나 제일 뒤가 되어버린다
  13. 글을 읽고 제목을 고르기
  14. 지시어 내용 찾기
    • 예:  ㉠을 바르게 설명한 것을 고르시오.
  15. 글의 기능이나 목적 파악하기
    • 전단지나, 광고문이나, 표시판 같은 것을 읽고 어떤 내용인지 고르는 유형
  16. 글의 순서 맞추기
    • 예:  다음 글의 순서로 맞는 것을 고르시오
      • 가.  ~~~~
      • 나.  ******
      • 다.  -------
      • 라.  ++++
    • 답지:  가-나-다-라 / 나-다-가-라 / 다-라-나-가 / 라-가-나-다
  17. 문장이나 단락 삽입, 삭제하기
    • 1.  글 안에서 없어도 되는 문장을 고르는 유형
    • 2.  글 안에 <보기>를 집어넣을 수 있는 자리를 찾는 유형
  18. 정보 파악하기
    • 세부 내용을 파악하는 것
    • 글을 읽고 질문에 답하는 유형
    • 여행사의 광고문을 읽고, 여행 종류, 기간, 예약 방법 등의 질문에 답한다
  19. 세부내용 파악하기
    • 글을 읽고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는 게 특징
  20. 필자의 태도 파악하기
    • 글을 다 읽고 화자의 심리 상태를 추론하는 유형 (고급)
  21. 전, 후 이야기 추측하기
    • 앞(뒤)부분에 나올 내용으로 알맞은 내용을 고르시오  (고급)
  22. 단락과 주제 연결하기
    • 글을 읽고 각 단락의 주제로 알맞는 것을 고르는 유형
      • 예: 글  (단락 마다 기호가 앞에 붙어 있음)
        • (가) ~~~~~~~. ~~~~~. ~~.
        • (나) ------------. ------. ---------.
        • (다) +++++++. ++.
        • (라) **********. ****************.
      • 답지: 가-XX의 중요성 / 나-XX의 필요성 / 다-XX의 가치 / 라-XX의 유용성
  23. 글의 제목이나 목차로 글 내용 파악하기
    • 중급이나 고급에서 많이 활용되는 유형
    • 표제어나 제목만을 제시해서 그 내용으로 알맞은 답을 고른다


읽기 평가 구성 및 시행할 때 유의할 점

  •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를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
  • 실제 읽기와 다양한 읽기 밥업이니 전략을 확인할 수 있도록
  • 초급 단계에서는 자료를 가공할 필요가 있으나 자연스러움을 훼손하지 않도록
  • 지엽(枝葉)적 언어 요소보다는 전체 내용 파악하도록
  • 표현과 이해, 심미적 효과 등과 같은 언어 사용의 본질을 보여 줄 수 있는 명문과 명작일반적으로 읽을 가치가 있는 읽기 자료를 선택하여 출제한다.
      • 한국 문화를 알리고 아름답고 가치가 있는 자료


4.  쓰기 평가

유형 소개

  1. 그림 보고 쓰기
    • 그림을 순서대로 나열하고 문장을 만든다
  2. 빈칸 채우기
    • 문법 확인하는 유형
    • 예: 사과를 5(   )하고 책을 3(   ) 샀습니다.  (단위 명사 맞추기)
  3. 고쳐 쓰기
    • 예: 시험이                    (으)니까 걱정하지 마십시오. (쉽다)
    • 예: 친구가 책을                  아/어 줬습니다. (고르다)
  4. 틀린 것 고치기
    • 예: 요즘은 ㄱ(날씨가) 이상합니다. ㄴ(어제까지는) ㄷ(따뜻하면), 오늘은 아주 ㄹ(춥습니다).
  5. 어순에 맞게 문장 완성하기
    • 예: 여름에, 지난, 배웠습니다, 수영을
    • 한국어는 어순이 정해져 있지 않게 때문에 조심해야 함
  6. 문장 연결하기
    • 문장 2개를 연결하는 접속어미나 접미사나 접속사를 확인하는 유형
  7. 문장 완성하기
    • 문장 안에 빈칸을 채우게 하는 유형
    • 빈칸에 들어갈 문장을 선택하게 하는 유형도 있다
  8. 대화 완성하기
  9. 상황에 맞게 문장 구성하기
    • 예: 메일의 답장을 쓰는 유형
  10. 정보 채우기
    • 예: 회원정보를 완성하기
  11. 설명, 묘사하기
    • 그림을 보고 묘사하는 유형
  12. 이야기 구성하기
    • 주제에 맞게 글을 구성하는데 들어가야 할 정보가 제시된다.
    • 예: 한일 월드컵 대회의 자원봉사 지원 양식에 따라 자기 소개하는 글을 240자 이내로 쓰십시오.
    • <정보> 직원, 지원분야, 참여 동기, 자격증, 외국어 능력, 기타
  13. 문단 완성하기
    • 글을 읽고 중간에 빈 부분을 제시된 정보를 사용해서 200자 정도로 채우는 유형
    • 빈칸 보다 더 긴 글을 쓰게 한다
  14. 읽고 요약하기
    • 예: 글을 읽고 100자 이내로 요약하십시오
  15. 자유 작문
    • 주제를 주고 기술하는 것
    • 토픽에는 700자 정도로 쓰기 문제가 있다


쓰기 평가 구성 및 시행 시 주의할 점

  • 모국어가 아닌 언어로 사고하고 표현하는 방법까지 평가한다
  • 총체적인 의사소통 과정이 평가돼야 한다
  • 글을 쓰는 목표와 방향을 확실하게 제시
  • 어휘 연습의 차원을 넘어 글을 제대로 구성하고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에 중점을 둔다
  • 충분한 시간과 분위기 제공
  • 정확성보다 유창성
  • 재첨 기준을 미리 정해서 채점 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
  • 그림 자료 등을 제시할 때에는 내용이 분형하게 나타나는 것이 중요하다
  • 분석적 채점
    • 기계적으로 정확성 측면만을 평가함
    • 오류의 수를 세어 채점하는 방법인데 타당성이 떨어진다
  • 종합적 채점
    • 문장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고 분석하여 각각에 대해 전체적인 평점을 하는 것
    • 글의 전체적인 구조까지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7.  한국어능력시험 (TOPIK)

목적

한국어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 및 재외동포들에게 한국어 학습 방향 제시
한국어 보급을 확대
한국어 사용 능력을 측정 평가하여 결과를 유학 / 취업 등에 활용


성적유호기간

성적 발표일로부터 2년간 


주관 기관

국립국제교육원


평가의 기본 체계

한국어 숙달도 평가

획득한 점수에 따른 인정 등급 판정


평가의 유형

  • TOPIK 1 (200점)
    • 1 ~ 2급
    • 읽기  30문항  45분
    • 듣기  30문항  35분
  • TOPIK 2 (300점)
    • 3 ~ 6급
    • 읽기  50문항 60분
    • 듣기   4문항 60분
    • 쓰기  50문항 70분   << 주관식
      • 빈칸 채우는 문제가 2개
      • 긴 글 쓰기가 2개
    • 말하기는 시행이 어려워서 연구중 (조만간 실시될 예정)


시험의 수준 및 등급

  • 1급 : 80점 이상
  • 2급 : 140점 이상
  • 3급 : 120점 이상
  • 4급 : 150점 이상
  • 5급 : 190점 이상
  • 6급 : 230점 이상


등급 판정 및 인증서 발급

  • 영역별 실제 획득 점수 표시
  • 총점과 평균 표시
  • 인증 등급 표시 (불합격자의 경우 공란)
  • 기존의 과락 제도 폐지
  • 초급, 중, 고급 성적표 배부

0コメント

  • 100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