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韓国語教育検定試験)の勉強のために、整理です。
韓国語教育検定試験はこちら
1.1. 총칙 : 総則
제 1 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 표준어가 맞춤법 규정의 대상
- 표준어로 인정된 말은 발음대로 적는 것이 원칙
- 실제 발음대로 적은 것이 문법에도 맞는 것이어야 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標準語で、発音通りに書くけど文法にも合うようにしよう
例:이피 -> 잎이 , 입또 -> 잎도
제 2 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文章の解釈が曖昧になるので띄어 쓰기しましょう
제 3 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外来語は外国から来た国語化した言葉
외래어 표기법を守ろう
例:슈퍼마켓 ? 슈처마켇 ? 수퍼마켓 ?
混乱をきたす
1.2. 자모
제 4 항
자모의 수는 24자
1.3. 소리에 관한 것
제 5 항
一つの単語の中で、とくに理由のない된소리は、次の音節の頭文字を된소리にする
例:소쩍새 , 오빠 (두 모음 사이)
例:잔뜩 , 훨씬 (ㄴ,ㄹ,ㅁ,ㅇ 받침 뒤에서)
しかし、'ㄱ, ㅂ' 받침の後ろの된소리はそのように表記しない
なぜなら常に된소리の発音になるからである
例:국수, 깍두기 , 법석 , 갑자기
제 6 항
'ㄷ, ㅌ' 받침の後ろに従属的な関係(助詞、接尾詞、語尾)をもつ、'-이' や '-히-'が来た場合、発音は'ㅈ, ㅊ' になるがそうは書かず'ㄷ, ㅌ'のまま
제 8 항
'계 례 몌 폐 혜'の 'ㅖ'は 'ㅔ'の発音だとしても 'ㅖ'と書く
例:휴게실, 게시판, 사례, 혜택, 핑계
제 9 항
의も이の発音になるけど의 って表記する
例:의사 , 희망 , 하늬바람
제 10 항
漢字語の' 녀, 뇨, 뉴, 니'が単語の頭にくる場合は '여, 요, 유, 여' とかく。
例:여자 , 남녀 , 신여성 , 한국여자대학
제 11 항
漢字語の '랴, 려, 례, 료, 류, 리'が単語の頭にくる時は、'야, 여, 예, 요, 유, 이'とかく
例:양심 , 선량 , 나열 , 진열
제 12 항
漢字語の '라, 래, 로, 뢰, 루, 르'が単語の頭にくる時は、'나, 내, 노, 뇌, 누, 느'とかく
例:낙원 , 극락 , 중노동
? 합격률 / 백분율 ?
列と率は、母音とㄴ받침の後ろでは、열 / 율になり、それ以外は 률 になる
漢字語の後ろは두음법칙の影響を受けない
例:
- 구독자란 : 한자어
- 가십난 : 외래어
- 작업량 : 한자어
- 일양 : 고유어
1.4. 형태에 관한 것
제 14 항
体言は助詞と区別してかく
例:팔이, 팔을, 팔에, 팔도
제 15 항
用言の語幹と語尾は区別して書く
例:높고 높아 , 높지만
まぁ読みにくくなるから。能率のために分かち書きしましょうということ。
제 16 항
語幹の最後の母音が' ㅏ / ㅗ ' の時は(陽母音)、語尾を ' - 아 ' を書き、それ以外の時は(隠母音)、' - 어 ' を書く
例:개어 겪어 먹어 베어 쉬어 저어 주어 피어 희어
ㅂ 불규칙の時はちょっとかわる
- 돕다 -> 도와 (ㅗだからㅘ)
- 놀랍다 -> 놀라워 (ㅂの前が2音節以上なら無条件で ㅝ )
- 아름답다 -> 아름다워 (ㅂの前が2音節以上なら無条件で ㅝ )
제 18 항
以下の用言は語尾が変わる場合、その語幹や語尾が原則から外れた通りに記す
- 'ㄹ' 불규칙 예) 갈다 : 가니, 간, 갑시다, 가시다, 가오
- 'ㅅ' 불규칙 예) 낫다 : 나아, 나으니, 나았다
- 'ㅎ' 불규칙 예) 까맣다 : 까마니, 까말, 까마면, 까맙니다, 까마오
- 'ㅜ' 불규칙 예) 푸다 : 퍼, 펐다 / 담그다 : 담가, 담갔다
- 'ㄷ' 불규칙 예) 듣다 : 들어, 들으니, 들었다
- 'ㅂ' 불규칙 예) 맵다 : 배워, 매우니, 매웠다
- '여' 불규칙 예) 하다 : 하여, 하여서, 하여도 , 하였다
- '러' 불규칙 예) 푸르다 : 푸르러, 푸르렀다
- '르' 불규칙 예) 부르다 : 불러, 불렀다
제 19 항 ~ 제 26 항
接尾語がついてできた言葉の場合は、原型のまま書くことを推奨
例)길이 , 낱낱이 , 굽히 , 급히
例)오뚝하다 があるので 오뚝이
例)뻐꾹하다 なんて言葉はないので、뻐꾸기
제 30 항
사이시옷をつけるタイミングは次のように考えればいい
例)귀 + 밥 = [귀빱]であって、[귀밥]とは言わない、、つまり귓밥 !!
というい言う風に考えれるのはネイティブのみ・・・
外国人にはこの感覚はないので以下の法則がある
- [우리말 + 우리말] , [우리말 + 한자어] , [한자어 + 우리말]の合成語で、前の言葉が母音で終わる場合
- 된소리
- 귀 + 밥 = 귓밥
- 귀 + 병 = 귓병
- 고래 + 재 = 고랫재
- ㄴ 소리가 덧나는 것
- 아래 + 니 = 아랫니
- 이 + 몸 = 잇몸
- 제사 + 날 = 제삿날
- 後ろの言葉の頭文字が母音の時に、'ㄴㄴ'になる
- 뒤 + 일 = 뒷일 [뒨닐]
- 예사 + 일 = 예삿일 [예산닐]
- 후 + 일 = 훗일 [훈닐]
- [한자어 + 한자어]のうち、次の6つ
- 곳간(庫間)
- 셋방(貰房)
- 숫자(数字)
- 찻간(車間)
- 툇간(退間)
- 횟수(回数)
つまり、漢字語+漢字語の場合は、ないと思っていて大丈夫
どちらか一方が우리말である
例)뒤풀이 / 허리띠 / 위층
すでに격음が入っている場合は사이시옷は入らない
練習問題
- 등교 + 길 = 등굣길 (한자어 + 우리말)
- 뒤 + 일 = 뒷일 (우리말 + 한자어)
- 후 + 일 = 후일 (한자어 + 한자어)
- 치 + 과 = 치과 (둘 다 한자어)
- 머리 + 말 = 머리말 (우리말 + 우리말)
- 피자 + 집 = 피자집 (외래어는 벗어남)
- 핑크 + 빛 = 핑크빛 (외래어는 벗어남)
- 개나리 + 길 = 개나리길 (一つの単語ではないので)
1.5. '이' 부사와 '히' 부사
제 51 항
最後の音節が '이'だけの時は 이、이も히もある、もしくは히の時は히を書く
- 엄격히
- 솔직히
- 곰곰이
- 버젓이
だいたい、-하다がつく言葉は-히の場合が多い(もちろん例外あり
- 'ㄱ' 받침으로 끝나는 순 우리말 뒤는 이
- 깊숙이
- 멀찍이
- 'ㅂ' 불규칙 형용사 뒤에는 이
- 가벼이
- 'ㅅ' 받침인 경우는 이
- 지긋이
- 같은 말이 겹쳐진 말 (하다를 못 붙임) 이
- 일일이
- 부사 뒤에는 이
- 더욱이
띄어 쓰기
제 2 항にもあったけど
各、単語は分かち書き:띄어 쓰기を原則とする
単語ってなんだっけ?
단어는, 최소의 자립 형식 (형태소)
예 : 사과, 잡다, 매우
합성어와 구의 구별
- 새로운 제 3의 의미 획득 여부
- 띄어 쓴다면 구 , 붙여서 쓴다면 단어
- 다른 단어의 삽입 가능성
- 돌아서 가다 << 중간에 '서' 같은 게 들어갈 수 있다면 구
- 돌아가다 (뜻: 죽다) << 중간에 다른 단어가 들어갈 수 없으면 단어
- 구성 성분의 본래의 성질 유지 여부
- 산 사람 >> 살다 (동사) 라서 "오래 산 사람" 처럼 앞에 부사나 다른 단어가 와도 뜻이 바뀌지 않는다면 구
- 산교육 >> 잘 산 교육 ??? 말이 안 되면 단어
1.6. 조사
제 41 항
조사는 반드시 붙여 쓴다
조사는 몇 개가 결합되었다고 해도 붙여 쓴다.
- 명사
- 깨나, -ㄴ커녕, 나마, 더러, 마저, 밖에, 보고, 부터, 서부터, 야말로, 에게다 ,에다가, 에서부터, 으로부터, 이시여, 이야말로, 조차, 치고, 하며, 한테 등
- 시, 중, 간, 내, 외, 것, 나름, 나위, 노릇, 놈, 등, 등등, 따름, 때문, 무렵, 바, 뻔, 뿐, 적, 줄, 즈음, 지, 터, 겸, 김, 대로, 듯이, 만, 만큼, 바람, 채, 체, 통
1.7.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제 42 항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의존 명사인지 어미인지 구별하는 방법
- 다른 명사와의 대치 가능성
- 까마귀 노는 데 백로야 가지 마라. = 노는 곳
- 동생은 캠프 가는데 나는 못 가 = 가는곳 ??
- 조사의 결합 가능성
- 까마귀 노는 데 백로야 가지 마라. = 노는 데에서
- 동생은 캠프 가는데 나는 못 가 = 가는데에서 ??
- 어미의 결합 제약 여부
- 까마귀 노는 데 백로야 가지 마라. = 놀았는데 ??
- 동생은 캠프 가는데 나는 못 가 = 갔는데
연습 문제
- 나 없이 잘 {살고 있는지 / 살고 있는 지} 모르겠다 = 살고 있는지
- 지 - 어미
- 영화를 {본지 / 본 지} 일 년이 지났다 = 본 지
- 본 지 , 본 때, 본 시간
- 그 주제로 {발표한데 대해 / 발표한 데 대해} 우리 고향이야. = 발표한 데 대해
- 한 데에 대해, 한 곳에 대해
- {잤다기보다 / 잤다기 보다} 그냥 잠깐 놀았나 보다. = 잤다기보다
- 보다 - 조사
제 43 항
単位は分かち書き
例)두시 삼십분 / 1446년 10월 9일
제 44 항
数を書く時は万単位で分かち書き
例)십이억 삼천사백오십육만 칠천팔백구십팔 / 12억 3456만 7898
제 45 항
列挙する時は前後で分かち書き
例)국장 경 과장 / 청군 대 백군
책상, 걸상 등이 있다
제 46 항
単音節の単語が連語の場合、引っ付けて書いてもいい(必須じゃない)
例)그때 그곳 / 한잎 두잎
이때, 그때, 이곳, 저곳とかはそもそも一つの単語なので必ず引っ付けて書く必要がある
辞書で調べてみる必要あり
연습 문제
- {제일과 / 제 일과 / 제일 과 / 제 일 과}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 제일 과
- 제일 - 접두사
- 모두 {300여명이 / 300 여명이 / 300여 명이} 신청해 주었습니다. = 300여 명이
- 여 - 접사
- 서랍에는 볼펜, 종이, {수첩등등 / 수첩 등등} 문구류가 있다. = 수첩 등등
- 등등 - 조사
1.8. 보조 용언
제 47 항
보조 용언은 띄어 쓰는게 원칙
- 본 용언 + 보조 용언 ->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
- 본 용언 + 본 용언 二つの動詞の意味の重みが同じ時は必ず띄어 쓰기
例
- 돌아 가다 (迂回) : 띄어 쓰기
- 돌아가다(死亡) : 붙여 쓰기
例外
- '-어 지다' / '-어 하다' は補助用言ではあるが、用言の種類を変える接辞のような働きのためかならず붙여 써야 함.
- 잡다(타) - 잡히다(자)
- 이루다(타) - 이루어지다(자)
- 슬프다(형) - 슬퍼하다(동)
1.9. 고유 명사 및 전문 용어
제 48 항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
例
- 名前:{권보아 / 권 보아} = 권보아
- 呼称:{권보아씨 / 권보아 씨} = 권보아 씨
제 49 항
名前以外の固有名詞は基本は分けて書くけど単語毎に分けて書いてもいい
例
- 대한 중학교:原則はこっち
- 대한중학교:許容範囲
제 50 항
専門用語は単位ごとに分かち書きが原則だけど引っ付けてもいい
例
- (慢性骨髄性白血病)
- 만성 골수성 백혈병 :原則はこちら
- 만성골수성백혈병 :分けてかくとどこまでが一つかわかりにくいから引っ付けても許容する
詳細は「国立国語院」のホームページでドキュメントを配布しているようです。
こちらはオンライン資料の掲載です。上のファイルは韓国語文規定の全てですが、こちらは
第1章の"한글 맞춤법"の部分になります。
0コメン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