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語教育養成課程] 한국어 어휘 교육론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韓国語教育検定試験)の勉強のために、整理です。

韓国語教育検定試験はこちら


1.  어휘 교육의 필요성

어휘를 알면 문법을 몰라도 어느정도 통한다

또한 어휘가 떠오르지 않으면 문법을 알아도 의사소통이 안 된다



1.2.  용어 정리

어휘 : 

단어 하나를 지칭하는 게 아닌 체계적인 조직의 집합체.

어휘 능력 :

이해 / 사용. 표현 능력 / 이해 능력. 다양한 차원이 있다.

기초어휘 - 기본어휘 :

기초 어휘는 생활하는 데 필요한 빈도가 높은 2,3천 개 어휘.

기본 어휘는 어떤 특정한 분야에서의 기초 어휘.

이해어휘 - 사용어휘 : 

한국어 어휘는 대략 50만 개

한국어 모어 화자가 이해하는 어휘는 5만 개 정도

사용 어휘는 이해 어휘의 1/3 정도

1차어취 - 2차어휘 :

1차 - 생활에서 습득을 통해 배운 언어

2차 - 학습을 통해 배운 언어. 학교 교육에서 배운 어휘는 다 2차 어휘



1.3.  어휘 교육의 방법과 유의점

1)  교육할 어휘 순서

어휘 목록을 만들어서 등급화한다.


2)  실제적 방법

실물이나 그림, 동작을 통한 방법

추상화에 의한 분석적 정의를 활용한 제시 방법 (아버지: +man / 어머니: -man)

문맥도 같이 제시해야 기억에 오래 남는다

모국어로의 번역을 활용하는 방식도 있다 (초급에서는 어느정도 효과적.)


3) 유의점

친근감이 가고 쉽게 할 수 있게 카드를 활용

어휘와 같이 틀을 같이 가르친다 (먹다:  ~가 ~를 먹는다)

어휘를 제시할 때 교사의 말하기 속도, 발음, 억양, 표현 등은 자연스러워야 하며 학습자 역시 그렇게 되도록 연습시켜야 함. 

어휘의 의미 제시는 될 수 있는 한 쉬운 고유어로 설명하는 것이 좋고 이미 배운 어휘로.

형태론적으로 복잡한 어휘인 경우 (복합어, 파생어) 형성되어진 과정을 제시해주면 유용하다

예를 제시할 때는 간단하되 상황 맥락이 잘 드러나는 예시로.

부가적인 설명 (주로 사용되는 상황 등)



1.4.  어휘 교육의 실제

  1. 도입 단계
  2. 제시 / 설명 단계
  3. 연습 및 어휘 확장 단계
  4. 사용 단계
  5. 마무리 단계

  • 주제: 환불하기 (물건 사기)
  • 단계: 중급 / 읽기 텍스트
  • 학습 어휘: 옷 (바지, 스커트, 티셔츠)
  • 묘사 어휘: 작다, 끼다, 어울리다, 흥이 있다, 사이즈
  • 환불에 관련된 어휘: 교환, 환불, 다른 사이즈, 



2.  어휘 교육을 위한 어휘 관계 정리


2.1.  의미의 계열 관계

개개의 단어의 의미가 종적으로 대치될 수 있다

예 : 나는 (강/산)을 좋아한다.


동의 관계 (혹은 유의 관계)

  • 개념 : 동의어 = 같은 말 ?
    • 완전히 똑같은 단어는 없다. 유의어가 맞다고 하는 주장도 있다.
    • 따라서 상대적 동의어라고 한다
  • 양상 :
    • 방언 : (백부)  큰아버지 / 맏아버지 
    • 문체 : 고유어-한자어 : 머리 / 두상,  이 / 치아
    • 전문성 : (의학용어) T.B. / 결핵
    • 내포 : 순사 / 순경 / 경찰  ,  간호사 / 간호원 , 기사 / 운전사
    • 완곡어법 : (피하고 싶은 것을 돌려서 말함)  죽다 / 돌아가다 / 세상버리다


대립 관계

  • 개념 : 반대말. 한 가지 요소가 반대 되면 됨.
  • 종류
    • 반의 대립어 : 길다 - 짧다, 좋다 - 나쁘다,  덥다 - 춥다
    • 상보 대립어 : (중간이 없다) 남자 - 여자,  참 - 거짓
    • 방항 대립어 : 암나사 - 수나사, 오르다 - 내리다, 꼭대기 - 밑바닥
  • 특성
    • 극성 : +, -    좋다(+) 나쁘다(-),  길다(+) 짧다(-)
    • 중화 : 일반적으로 플러스 요소로 의문문을 만든다
      • 얼마나 길어요 ?
      • 얼마나 좋아요 ?
    • 유표성 : 왕 - 여왕, 생물 - 무생물, 의사 - 여의사
      • 무표적 - 흔히 볼 수 있는 거. 기본.
      • 유표성 - 파생어. 여 + 의사, 여자 + 대학, 무 + 생물


유의어

비슷한 말

  • 격틀의 차이 : 아름답다 / 예쁘다
  • 정도의 차이: 때때로 / 가끔 / 드문드문
  • 연어 관계 차이(숙어정도의 강력한 룰이 있지 않는 애매한 숙어): 머리를 감다 / 좌석을 예약하다 / 표를 예매하다


반의어

  • 가다 <> 오다 / 가다 <> 서다
  • 각각 의미마다 반의어가 있다
  • 순차적으로 잘 교육해야 혼동을 줄일 수 있다
  • 문맥하고 같이 제시하는 게 좋다


상위어 / 하위어

  • 바지
    • 상위어 : 옷, 의복, 의류
    • 하위어 : 몸빼, 나팔바지, 반바지, 디스코바지, 청바지



2.2.  의미의 결합 관계

같이 문장에서 나올 수 있는 관계

예 : 나무를 심다


대등 합성 관계

  • 논밭, 신랑신부, 부모, 남녀, 남북한, 한중일


혼성 관계

  • 단어를 잘라서 결합 시킴
    • 오피스 + 호텔 = 오피스텔
    • 짜장면 + 스파게티 = 짜파게티


관용 표현

  • 미역국을 먹다 (시험에 떨어지다)
    • 2개 의미를 합쳐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낸 것.


기타 표현

  • 속담
  • 상투 표현
  • 연어 표현



2.3.  의미의 복합 관계


다의 관계

거의 대부분에 단어가 여러가지 의미를 갖고 있다

의미 확장 (밝다: 빛, 색, ------ >  표정)  구체 -> 추상

  • 구조
    • 유사 구조
      • 형태 : 목 - 자라목 / 손목 / 병목
      • 기능 : 손 - 손발이 되다
      • 속성 : 높다 - 기온이 높다 / 소리가 높다
    • 인접 구조
      • 공간의 인접 : 가슴
      • 시간의 인접 : 아침을 먹다 / 아침이 밝아 온다
      • 원인과 결과의 인접 : 한 잔 했다


중의 관계

  • 소리는 같은데 의미가 다를 수 있는 거
    • 예 : 손이 크다  --- 진짜 손이 크다 / 물건 같은 걸 많이 산다.



---

다의 관계나 중의 관계 등 의미의 복합 관계를 어휘 교육에 활용하는 것도 유용

( 구체 -> 추상, 공간 -> 시간 ) 개념이나 원인의 확장 방법을 알고 있으면 잘 교육 시킬 수 있다.




3.  어휘 체계

3.1.  체계

고유어 (25.9%) / 한자어 (58.5%) / 외래어 (4.7%) / 기타 (10.9%)


3.2.  고유어

특성

  • 고유어는 한국어의 기초 어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 잠 / 취침 / 수면    -> '잠'만이 기초 어휘
  • 조사나 어미는 고유어
  • 자음 교체나 모음 교체가 있다
    • 감감하다 / 깜깜하다 / 캄캄하다
    • 반짝반짝 / 번쩍번쩍
  • 의성어, 의태어, 색채어 발달
    • 푸르다 관련한 색채어만 50개는 된다고 한다


3.3.  한자어

  • 중국 / 한국 /일본 여러 나라에서 만들어진 한자어가 있다.
  • 단어 형성에 제약이 없어서 비교적 활발하게 만들어진다.
  • 동사, 명사, 형용사, 접두사도 만들 수 있다
  • 약자 만들기 쉬움 (한은)
  • 고유어와 한국에 들어온 외국어와도 잘 결합하여 새 단어를 잘 만들 수 있다
    • 된장, 밥상, 공부하다
  • 한자어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단어도 많다 ( 심지어, 안녕 )
  • 중국식 어순을 그대로 지키고 있는 경우도 있다 ( 애국, 출국 )


3.4.  외래어

  • 외국어 중 국어 생활에 정착되어 쓰이는 말
  • 정착됐는지 아닌지는 애매함. 차이가 크지도 않음
  • 외래어와 외국어의 표기는 원음에 따라 적는 것이 원칙
    • 버스, 호텔, 아파트, 아이스크림, 컴퓨터 등



3.5.  어휘 체계와 한국어 어휘 교육

  • 고유어를 중점적으로 가르치긴 하지만 외래어나 한자어도 어휘 교수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
  • 외래어는 원어하고 발음이 다르다던지 차이가 있다
  • 한자어권 학습자들의 경우 잘 활용하면 어휘를 많이 늘릴 수 있다
    • 발음, 의미 차이를 정리해서 목록화 된 것도 참조하면 좋다
  • 구어 준말, 의성어, 의태어, 감탄사도 중요함



4.  어휘의 공시적 / 통시적 변이

통시적 = 역사적인 시간 흐름에 따라 한 지역에서 종적(縱的)으로 보는 거

공시적 = 같은 시간에 횡적(橫的)으로 보는 것


4.1.  통시(역사)적 변화

  • 세대 간의 불연속적인 전달
  • 의미의 모호성
    • 사랑 -> 생각하다 / 사랑하다  2가지 의미가 있었다
  • 유연성 : 만들어졌을 때의 관계가 끊어지는 경우
    • 양말 : (서양의)양말(버선) 이라는 뜻 이였지만 지금은 양과 말을 구분해서 생각하지 않는다
  • 다의성 / 중의적 문맥 / 어휘 구조
  • 요인
    • 언어적: 아침 -> 아침밥
    • 역사적: 펜 (깃털 달린 펜 -> 모든 필기구)
    • 사회적: 바가지(박 + 아지) -> 플라스틱
    • 심리적: 쓰나미 (큰 파도) -> 경재영어로도 쓰이기 시작 (파산의 쓰나미)


4.2.  지역적 계층적 변화

아래와 같은 변화는 통시인 변화도 있고 공시적인 변이일 수 있다

  • 방언
  • 은어
  • 속어
  • 성별 방언
  • 여성어
  • 높임말
  • 신조어


4.3.  어휘 의미의 변이와 한국어 교육

이러한 변화나 변이를 어떻게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을 할 수 있는지.

  • 존대어의 경우 높임말, 존대말을 등급에 따라 가르쳐야 한다
  • 비속어는 이해는 할 수 있게 가르쳐야 한다.
  • 완곡어
  • 성별어는 고민을 해야 한다.
    • 한국어 강사가 여성 선생님이 많아서 외국인들이 여성어를 많이 쓴다는 통계가 있다
  • 연령어란 어린아이나 노인들과 같은 특정 나이의 사람들이 즐겨 쓰는 표현으로 이해어휘 학습에 필요하다
  • 고급 학습자의 경우 어휘 의미의 통시적 변화를 고려하거나 특히 어원을 활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0コメント

  • 100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