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語教育養成課程] 한국어 문화 교육론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韓国語教育検定試験)の勉強のために、整理です。

韓国語教育検定試験はこちら


1.  한국어 문화 교육의 개념

한국어 문화 교육 = 한국어 교육 + 문화 교육

화학적 총합


1.2.  문화와 언어 문화

문화와 구별된 언어문화

예:  '추석'  

  • 단어를 이해하기에 필요한 문화지식
  • 음력, 조상에 대한 제사 개념, 의복, 음식 ...


문화란 ? 문화의 5차원

  1. '산물' 문화 : 생산, 채택된 모든 인공적 산물
    • 도구, 의복, 서적, 건물, 언어, 음악, 가족제도, 교육, 경제 등
  2. '수행' 문화 : 개인적 혹은 상호적으로 수행하는 활동 및 상호작용 전체
    • 산물 사용 행동, 의사소통 형태, 생활 양식, 관습
  3. '관점' 문화 : 문화를 실행하는 개인, 공동체의 지침이 되는 시각, 선입견
    • 인식, 신념, 가치 태도 포괄 -  (무의식적, 삶의 전망이나 방향을 제시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역할)
  4. '공동체' : 문화를 실행하는 주체
    • 집단, 환경, 사회 상황
  5. '개인' : 문화나 공동체를 독특한 방식으로 만들어 가는 구성원


언어 문화란?

  • 제한적 관점 (언어 < 문화)
    • 언어 속에서 발견되는 문화
    • '언어 문화'
  • 포괄적 관점 (언어 = 문화)
    • 모든 문화 영역에서 나타나는 언어 현상을 찾는 것
    • '언어와 문화'


제한적 관점 + 포괄적 관점 = 언어문화

> 언어는 문화이며 문화는 언어이다.

언어 학습은 문화를 도구로 부리는 능력 학습 넘어 삶의 방식 습득 과정이다


1.3.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현황

  • 문화 요소 중심
    • 읽기 자료나 정보 제공, 설명
    • 문화에 대한 지식 학습
  • 문화 요소 활용
    • 말하기 / 듣기 / 쓰기 / 읽기와 같은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해 문화를 활용
  • 문화 능력 지향
    •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를 활용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한국어 문화와 또는 학습자의 자국 문화 사이에  비교 그리고 거기서 차이를 발견하고 그 들을 통해서 제 3의 문화를 창조하는 데까지 이루는 적극적인 문화 교육
    • 문화를 단순히 아는 데 그치지 않고 학습자가 문화적인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문화 능력을 기르는 데까지 나아가려고 하는 교육




2.  한국어 문화 교육의 시각과 목표

교육의 목표를 좌우하는 문화에 대한 시각의 중요성


문화 시각 종류

  1. 자문화중심주의 (ethnocentrism)
    • 자국의 문화를 고유하고 본질적인 것으로 봄 (민족 = 문화)
    • 장) 국가 성립되는 데는 유용하다
    • 단) 문화 제국주의, 배타적 민족주의로 변질 기능성이 있다
  2. 문화상대주의 (cultural relativism)
    • 각 문화 나름의 의의와 구조적 체계화 인정하며 상호 존중 시각
    • 단) 문화 교류, 변용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3. 다문화주의 (multiculturelism)
    • 한국가 내에서 여러 민족, 인종이 섞여 있을 때 모든 문화의 가치를 인정하는 시각
    • 단) 문화적 갈등을 해결하기 힘듦
    • 단) 내가 어느 문화에 속하는지 알기 힘듦
  4. 상호문화주의 (inter-culturism)
    • 유럽 국가에서 다인종, 다문화 현상 이해, 해결 노력의 산물
    • 각 문화가 서로 섞일 수도 있고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인정
    • 더 활발하게 소통 / 새로운 문화를 창조할 수 있다


한국어 문화 교육은 상호문화주의 시각에 입각해 구체적 목표를 수립하는 게 바람직하다


2.2.  한국어 문화 교육의 내용

언어문화의 속성과 교육 내용 단계의 상관성

  • 사실  ---  지식
  • 의미  ---  경험
  • 과제  ---  수행
  • 정체성  ---  태도


지식 차원의 문화 교육 내용

  • 언어, 주관하는 사람, 이에 관한 세계 등의 지식으로 조직
  • 한국어 지식, 한국어문화 지식, 한국문화 지식 등 광범위한 내용
  • 언어교육에 적절한 내용 선정의 준거
    • 유의미성, 유용성, 타당성, 통합성
  • 단편적 지식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는 구조화 과정이 중요


경험, 수행 차원의 문화 교육 내용

  • 언어문화 지식을 직접 겪고 해 내는 일 (경험과 수행)
  • 경험을 통한 의미 있는 이해
  • 수행은 반복적 학습이 목표가 아니라 같은 상황처럼 느껴지더라도 매 상황에 따른 언어의 창조적 측면과 맥락성을 고려해서 구성해야 한다


태도 차원의 문화 교육 내용

  • 한국어문화,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와 자국 문화와 비교할 때의 태도


이러한 내용을 실제로 어떻게 한국어학습 목표로 구성할 수 있는지

초급 (1,2급)

생존에 필요한 기초적인 언어 기능 (자기소개, 물건 사기, 음식 주문하기) 및 일상생활 (전화하기, 부탁하기, 공공시설 이용)
공식적 / 비공식적 상황 언어 구분 사용

중급 (3,4급)

다양한 공공시설 이용
사회적 관계 유지 필요 언어
문어 / 구어의 기본적 특성 구분, 관용적 표현과 사회, 문화적 내용 이해 및 이용 가능

고급 (5,6급)

전문 분야 연구나 업무 수행 언어 기능
정치, 결제, 사회, 문화 전반의 친숙하지 않은 소개, 주제 이해 사용 가능

출저:  한국어능력시험: 등급별 평가 기준


학습 동기와 관심을 고려해서 실생활에 유영한 내용을 적극적으로 선정한다.



3.  한국어 문화 교육 방법

3.1.  수업 모형

문화 경험 반영한 순환적 문화 교육 과정 (Moran : 2004)

  1. 방법 알기
    • 문화의 각 영역(태도, 행동, 기술, 말하기, 바라보는 것 등)에 대해서 실행하는 것도 포함
    • 참여해서 행동에 변화가 나타난다
      • 무엇을 말하는가, 어떻게 말하는가, 무엇이 적절한가 와 같은 질문을 대답하게 하는 활동을 할 수 있다
  2. 대상 알기
    • 문화적인 정보를 습득하는 모든 활동
    • 문화의 본질, 타 문화 입문 과정
      • 어떤 일이 생겼는가, 무엇을 보고 들었는가, 세부 사항은 무엇인가 와 같은 질문을 대답하게 하는 활동
  3. 이유 알기
    • 근본적인 문화에 대한 관점 (지각, 믿음, 가치, 태도 등)의 이해를 위한 탐구 과정
    • 문화 현상을 증명하고 분석하고 설명하는 기술
    • 학습자의 자국 문화와 비교하는 것도 포함
      • 무엇을 의미하는가, 당신의 설명은 정당한가, 당신의 문화와는 어떻게 유사한가 등의 질문을 통해 확인
  4. 자기 알기
    • 구체적인 반응을 보이게 되는 단계
    • 학습자의 가치, 의견, 반응, 사고, 관념을 아는 자기 인식 과정
      • 어떻게 생각하는가, 어떻게 느끼는가, 이 다음에 무엇을 하는가, 다른 사람들은 그것에 대해 어떻게 하는가 등의 질문을 통해 확인


이것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 교육 현실에 맞는 문화 중심 수업 모형 예 (임경순: 2015)

  1. 언어와 문화 경험 단계
  2. 문제 발견과 해결 모색 단계
  3. 문화 비교, 해석 단계
  4. 정체성 형성 및 문화 이해 단계
  5. 문화 발전과 생산 단계


3.2.  한국어 문화 교육 수업 방법의 실제

문화 교육을 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들 가운데 "문학"을 활용한 방법 예시

중급 ~ 고급 단계에서 실시하는 게 유용함


문학을 활용한 문화 교육 방법의 효과

  • 의사소통 능력 재고 (중급 이상)
  • 한국 사회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고급)
  • 비판적 문식성 신장, 문화의 상호이해 촉진

문학 활용의 유의점

  • 문학 자체에 대한 이해 지양
  • 본격, 고급 문학 선택이 바람직하다 (대중문학은 흥미롭지만 거기서 끝나서 문화 연구까지 이르지 못 할 수 있다.)


예: 시조

>  작품

秋江에 밤이 드니 물결이 차노매라
낚시 드리치니 고기 아니 무노매라
無心한 달빛만 싣고 빈 배 저어 오노라

- 월산대군 (1454 ~ 1488)

> 몰표

  • 시조의 형식, 향유 방식, 주제, 창작 배경 이해
  • 작품의 내용, 표현, 작가의 심정 공감
  • 노래/시의 차이와 효과 경험하고 창작해 본다
  • 현대시조 및 학습자 자국의 전통 시와 비교


> 교육 방법 (임경순: 2015)

  1. 언어와 문학 경험 단계
    • 조선시대 남성 사대부들에 의해서 '풍류방'이라고 하는 문화 공간에서 노래로 불린 정황 설명
  2. 문제 발견과 해결 모색 단계
    • 작가의 심경을 표현한 이유, 심정에 공감 유도
    • 작품을 낭송하고 각각 어휘(-노매라, 추강, 달빛, 밤의 이미지)의 이미지, '어부'의 동아시아적 전통 등 의미 파악
    • 시조음악 중 시조창 / 가곡창의 차이와 특징 설명 후, 작품을 가곡창으로 감상
  3. 문화 비교 / 해석 단계
    • 고전 영시의 율격, 일본의 和歌、俳句、短歌 비교
    • 학습자 자국의 전통시 특징과 시조의 특징 비교 및 해석
  4. 정체성 형성 및 문화 이해 단계
    • 시조의 세계화, 국제화에 대한 현황, 인식, 효과적 방안에 대한 의견 공유 (이건 홍보 ?)
    • 시조가 영역된 예와 번역 시 유의점 들고 학습자가 번역해 시조 소개
  5. 문화 발전과 생산 단계
    • 조선 시대에서 현대까지 각 시대에 맞춰서 어떻게 변화, 발달해 왔는지 설명
    • 학습자의 현실 경험을 담은 현대시조를 창작 후 발표, 평가

0コメント

  • 100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