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語教育養成課程] 韓国文学概論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韓国語教育検定試験)の勉強のために、整理です。

韓国語教育検定試験はこちら


1.  한국문학 : 韓国文学


1.1.  한국문학 = 한국의 문학

文学(literature) = 言語芸術

  • 韓国文学は、韓国芸術の下位分野


韓国(korea) = 국가 or 민족 (nation)

  • 国家としての韓国:大韓帝国、大韓民国
  • 民族としての韓国:韓民族
  • 韓国文学は、世界文学の下位分野


1.2.  이광수의 < 문학이란 하오 >

이광수는 1910년에 <문학의 가치>를 냈으나 사람들이 내용을 이해 못 하는 걸 보고 <문학이란 하오>를 매일신보에서 1916.11.10 ~ 11.23까지 총 8회를 걸쳐서 발표했다.


가.  '번역어'로서의 문학

  • 문학이란 말은 'Litertur' 혹은 'literature'라는 단어의 번역어다


나.  매체 : 문자언어로 기록된 것

  • 구비전설은 문학이라 하기 어렵다 => 문자로 기록되어야 문학이다
    • literature의 어원 letter는 문자이기 때문에 문자언어에 대한 과도한 특권화
    • 문자언어는 구비문학과 관계성이 높다는 인식 부재


다.  양식 : 문학의 갈래

  • "시, 소설, 극, 평론"만이 문학 = 이 외에 글은 문학이 아니다
    • 수필 혹은 교술양식의 배제


라.  조선문학

  • 민족으로서의 조선인이 쓴 글이 문학이다


정리

  • 문학에서, 구비문학과 수필은 제외했다
  • 조선인이 쓴 조선문(한글)만이 문학이다



1.3.  현대 한국문학의 개념

  • 음성언어 + 문자언어 (구비문학 + 기록문학)
  • 구비문학은 문학의 기원이면서 토대가 되어 왔다
  • 잠정적(暫定的) 개념으로서의 문학
    • 문학은 100년 전에 형성된 개념
    • 문학이라는 말은 번역을 통해서 생긴 단어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 주체=언어=내용 동일성
    • "이광수는 조선인이 조선어로 쓴 문학" (이광수)  = 좁은 의미의 한국문학
    • 글로벌 사회
      • 해외에서 한국인이 한국어가 아닌 글을 쓸 수 있다
      • 또한 다문화가정의 2세, 3세가 한국에서 한국어로 쓰는 글은 ?
  • 넓은 의미의 한국문학이란 ?
    • 주체 , 내용 , 언어 (한국인, 한국인의 사상과 감정, 한국어)
    • 하나, 혹은 두개가 없다고 해도 넓은 의미에서 한국문학이다.



2.  한국문학의 갈래(genre)

2.1.  동양에서의 갈래

  • 동양세서는 한문을 시(詩), 부(腑), 사(辭) 등으로 세분화
  • ---> 국문문학에서는 적절하지 않다..


2.2.  문학갈래의 기준

문학의 4가지 구성요소

  • 작품
    • 세계
    • 작자 (화자)
    • 청자 (독자)

----->  문학 = 언어적 의사소통이라고 생각하면 아래와 같이 다시 자리를 잡는다

R. 야콥슨의 < 의사소통의 형식 >

현실세계 (맥락)

화자(작자) - 말(텍스트) - 청자 (독자)



1)  텍스트 내부의 성격 : 운율에 따른 분류 (2분법)

운율이란 ?

반복을 통한 리듬감의 형성
운 : 위치의 반복
율 : 자수나 마디의 반복
  • 운율이 있다 : 운문(韻文)
    • 고전 문학은 거의 다 운문. 
      • 구비문학의 영향 (노래 가사는 암기하기 쉽기 때문)
      • 폐쇄적인 사회구조
  • 운율이 없다 : 산문(散文)
    • 현대 문학에서는 운문이 산문화 되는 경향이 있다
      • 개인적 쓰기 문화와의 형성
      • 개방적인 사회구조 (폐쇄적인 사회가 아니기 때문에 공통적인 운율을 지킬 필요가 없다)


2)  텍스트 내부의 성격 : 화자에 따른 분류 (3분법)

  • 텍스트 내부의 말하는 사람이 있다 : 서정 & 서사
    • 주관적으로 감정을 표현 : 서정
    • 객관적으로 사건을 전달 : 서사
  • 텍스트 내부의 말하는 사람이 없다 :
    • 이야기를 전해주는 사람이 없다


2.3.  한국적인 갈래 체계의 재구성

  • 3분법
    • 게계문학적 보편성
    • 하지만 고전문학의 일부분, 한글문학의 가전체, 몽유록, 가사 등은 3분법에 속하지 못한다.
  • 4분법 < 일방적인 갈래 >
    • 삼분법 + 교술 ( 조동일 )
      • 서정 : 작품외적 자아(글쓴이)의 개입이 없는 세계의 자아화 (화해)
      • 서사 : 작품외적 자아(글쓴이)의 개입에 의한 자아와 세계의 대결 (갈등)
      • 극 : 작품외적 세계의 개입이 없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 (갈등)
      • 교술 : 작품외적 세계의 개입에 의한 자아의 세계화 (화해)



3.  한국문학의 역사

3.1.  한국문학의 근대

현대 ≠ 근대

  • 현대는 동시대 (동시대의 정의에 따라 현대의 폭이 바뀐다)
  • 근대는 역사적 시기로서의 근대
    • 민주주의, 자본주의, 개인주의, 인간주의가 근대의 특징

한국에서의 근대 (논의는 진행중)

  • 19세기 기점설
    • 서구(유럽)의 충격과 전통질서의 위기
    • 중화주의적(中華主義) 게계관의 붕괴와 새로운 문학
    • 새로운 작은 갈래의 탄생 (신체시, 신소설, 신파극 등)
    • 불만점 : 외부 충격이 계기가 된다는 점
  • 18세기 기점설
    • 조선후기 (영정조 시기)의 문화 융성
    • 지배층, 문중 모두가 새로운 문화적인 변화들이 나타났다
    • 자생적인 근대화다


3.2.  한국문학과 언어

  • 한국문학
    • 기록문학
      • 한문문학
      • 차용문학 (향찰, 이두)
      • 한글문학 (국문문학)
    • 구비문학


3.3.  한국문학의 역사

사고시대 : 구비전승의 시대

  • 구비전승 = 기록문학의 부재
  • 서정 : 제천의식에서의 원시종합예술
    • 영고(부여), 동맹(고구려), 무천(예)
    • 개인서정시의 탄생 : 공무도하가, 황조가
  • 서사 : 건국신화
    • 동명왕, 김수로왕, 박혁거세 등


삼국~통일신라시대 : 구비문학과 기록문학의 분리

  • 한문 = 지배층의 언어
    • 고대국가의 건설과 국가이념 (불교와 유교)
    • 최치원 (한문문학의 최초의 인물)
  • 향찰문학 (차용문학) : 향가 (서정적 & 서사적)
    • 어순은 우리말이고 표기는 한자
  • 서사 : 설화 (실존인물과 관련)
    • 나중에 판소리계 소설 등에 활용 됐다 (서사문학의 토대)


고려시대 : 한문문학의 융성

  • 과거제도 : 한문의 교양화
    • 정지상의 한시
    • 이규보이제현의 문장
    • 가전체 형식 : 전(한 사람의 일대기), 가전(仮伝) 사물을 의인화
  • 서정 : 고려가요
    • 구비전승 후 궁중악으로 정착 (기록)
    • 여러 개의 연, 여음구, 3음보의 율격 (아리랑은 3음보)
  • 교술 : 경기체가


조선시대 전기 : 한글의 창제

  • 한문문학의 융성
    • 한문단편소설의 등장 : 김시습의 < 금오신화 >
  • 서정 : 시조
    • 3장 6구의 절제된 형식, 4음보의 율격
  • 교술 : 가사
    • 안빈낙도 (자연친화)
    • 충신연주지사 (여자에 빗대어서 임금에 대한 사랑을 말한다)


조선시대 후기 : 한글문학의 성장

  • 전통질서의 위기와 새로운 한문문학
    • 실학파의 < 애민시 > / 박지원의 < 한문단편 >
  • 민중문화의 성장
    • 평시조 -> 사설시조
    • 강호가사 -> 여행가사
    • 유배가사
  • 서사 : 판소리계 소설 (국문)


근대문학 : 한글문학 전성시대

  • 갑오경장
  • 구비문학의 약화
  • 서구와의 교섭
  • 3.1.  한국문학의 근대를 참조


정리

근대 전후로 구분

  • 서정
    • 근대 전 : 한시, 향가, 고려가요, 시조, 서정민요
    • 근대 후 : 현대서정시
  • 서사
    • 근대 전 : 고전소설, 한문단편
    • 근대 후 : 현대소설 (서사시)
    • 근대 전 : 가면극
    • 근대 후 : 현대희곡
  • 교술
    • 근대 전 : 제문, 일기, 기행문, 비평, 경기체가, 악장, 가사
    • 근대 후 : 현대평론


0コメント

  • 1000 / 1000